[이승훈의 과학을 품은 한의학] 침과 뜸은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

[이승훈의 과학을 품은 한의학] 침과 뜸은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

입력 2020-03-02 21:20
업데이트 2020-03-03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승훈 경희대 한방병원 침구과 교수
이승훈 경희대 한방병원 침구과 교수
사극 드라마에서 침 치료는 침통에서 꺼낸 두꺼운 바늘이 혈자리에 자입돼 주인공이 아파서 인상을 쓰는 이미지로 묘사되곤 한다. 뜸 치료도 으레 쑥이 타면서 연기가 나고 뜨거운 걸 억지로 참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렇다면 21세기 현재 한의원에서 이뤄지는 침이나 뜸 치료는 과학기술과 어떻게 접목돼 발전하고 있을까?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비약물요법인 침, 뜸, 부항 치료는 일종의 체표 자극 요법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침은 물리적인 통증 자극, 뜸은 온열 자극, 부항은 물리적인 음압 자극을 체표에 가해 인체의 반응을 통해 효과를 일으킨다. 최근에 다양한 기술이 침과 뜸의 자극을 가하는 방식에 적용돼 전통적인 침과 뜸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한의원에서 침 치료를 받을 때 침을 혈위에 자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돌리는 자극법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침에 수기 자극을 가해 치료 효과를 높이려는 목적인데, 이때 전기를 이용해 사람의 손동작으로 할 수 없는 일정하고 다양한 빈도의 자극을 유도해 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전기침은 전기 자극의 주파수에 따라서 다른 효과를 일으킨다. 예전에는 저빈도 자극을 위해 손으로 침을 돌리거나, 고빈도 자극을 주기 위해 침을 손가락으로 튕기기도 했지만 이제는 전기장치를 활용해 더 정확한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됐다. 바늘 공포증이 있는 환자들을 위해 저출력 레이저 광선으로 혈위를 자극해 침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레이저 침도 있다.

일반적으로 침 치료는 20~30분 동안 시행되고 병원 밖에서 오랫동안 자극을 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침 자극의 지속 시간을 늘리기 위해 침 바늘을 통해 의료용 실을 체내에 매입하는 매선 요법이 나왔다. 매선실은 3~5개월 동안 천천히 체내에서 융해되면서 무균성 염증반응을 일으켜 조직 재생과 치유 효과를 유도한다. 임상에서는 주로 안면의 표층근건막체계나 관절 주위 힘줄, 인대 부위에 자입하는 등 미용 분야나 통증 질환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쑥을 태워 열 자극을 가하는 전통적인 뜸 치료법에서 나아가 초음파, 고주파, 전자기장 등 다양한 열원을 이용해 열의 강도나 열이 전달되는 조직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최근 한의원에서는 온열 자극은 온도에 따라 자극하는 말초수용기와 효과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해 전자뜸으로 43~45도의 온도를 15분 이상 가해 온각수용기를 자극하는 온자극 방법이나 60~70도의 온도를 1초 이내로 가해 열통각수용기를 자극하는 열자극 방법을 활용한다.

이 밖에 침 표면에 나노 단위의 작은 구멍을 만들어 생체에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늘리는 ‘나노 다공성 침’이나 침 바늘에 절연체를 코팅해 침 끝이 위치한 조직의 깊은 층에만 전기나 열 자극을 전달하는 특수 침 등과 같이 현대 기술을 접목시킨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2020-03-03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