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왜 편의점에선 마스크 안 파나”…정부 “적극 검토 중”

“왜 편의점에선 마스크 안 파나”…정부 “적극 검토 중”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3-02 08:15
업데이트 2020-03-02 0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불편 최소화 ‘공적 마스크’ 판매 검토

문 대통령 “현장에서 문제 파악하라” 질책
식약처, 편의점 판매 논의 일정 돌연 취소
편의점 업계 “접근성 가장 높은 유통망”
이미지 확대
1일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농협은 주말을 맞아 마스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초 이날 서울·경기 지역 319개 하나로마트에 마스크 55만장을 판매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와 협조해 55만장을 추가 조달키로 했다. 2020.3.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1일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농협은 주말을 맞아 마스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초 이날 서울·경기 지역 319개 하나로마트에 마스크 55만장을 판매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와 협조해 55만장을 추가 조달키로 했다. 2020.3.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앞으로 편의점에서도 정부가 공급하는 보건용 마스크를 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읍·면 소재 우체국과 농협 하나로마트, 공영홈쇼핑, 약국, 의료기관 등을 마스크 공적 판매처로 지정했지만 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빗발쳤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나서 “마스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최우선으로 강구하라”며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질책성 후속 조치를 주문하면서 제도 개선 실마리가 풀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일 마스크 구매과정에서 국민이 겪는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공적 물량으로 확보한 마스크를 편의점에서도 팔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로 마스크 수요가 늘면서 국내에서 구하기조차 힘들 정도로 품귀현상을 빚자 정부는 지난 2월 26일 마스크 긴급수급조정조치를 발동해 마스크 하루 생산량의 50%를 공적 판매처를 통해 판매토록 했다.

하지만 배송 등 유통 문제로 혼란이 생기면서 공적 판매처에서 국민이 마스크를 사려고 해도 사지 못하고 허탕치는 일이 벌어지는 등 혼선이 야기됐다.

정부는 일단 공적 공급체계가 안정되면 마스크 구매과정에서 길게 줄을 서야 하는 등 국민 불편이 많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 수급 문제 해결에 속도가 나지 않자 문 대통령은 “마스크 공급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정부 담당자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라”고 지시했다.

현재 마스크 공적 판매처는 읍·면 소재 1400개 우체국과 농협 하나로마트(서울·인천·경기 제외) 1900여개, 공영홈쇼핑, 전국 2만 4000여개 약국, 의료기관 등에 그친다. 가장 소비자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편의점은 제외됐다.

당초 정부는 공적 물량으로 확보한 마스크를 편의점에서도 판매하기로 했다가 일단 판매처에서 제외했다. 식약처는 지난달 26일 공적 물량 마스크 판매와 관련해 편의점들과 회의를 할 예정이었으나 갑자기 일정을 취소했다.

당시 식약처는 일단 약국에 물량을 배분하고서 이후에 편의점을 공적 판매처에 포함할지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편의점업계는 정부에 편의점을 공적 판매처로 포함해 지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유통망인 동시에 상비약 판매 등 일정 부분 공적 기능을 하는 편의점을 제외한 조치는 소비자의 안정적인 마스크 수급을 위한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