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남북아이스하키 이끈 정몽원 회장, 2020 IHHF 명예의 전당 헌액

평창 남북아이스하키 이끈 정몽원 회장, 2020 IHHF 명예의 전당 헌액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0-02-05 18:17
업데이트 2020-02-05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이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아이스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인 중에서는 5번째다.

IIHF는 5일 2020년 명예의 전당에 오를 빌더 1명을 정 회장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빌더는 지도자나 행정가로 아이스하키 발전에 공로가 큰 인물을 말한다. 정 회장의 IIHF 명예의 전당 헌액 행사는 오는 5월 25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다.

1994년 만도위니아(현 안양 한라) 창단을 계기로 아이스하키와 인연을 맺은 정 회장은 25년간 척박한 한국 아이스하키 토양을 다진 공로를 인정받았다. 정 회장은 98년 외환위기 이후 국내 아이스하키리그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일본에 손을 내밀어 아시아리그 출범을 이끌었다. IIHF는 “한국 아이스하키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출전은 정 회장 없이 이뤄질 수 없었다”며 “평화의 상징으로 세계적 관심을 받은 평창올림픽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도 정 회장의 의지와 헌신으로 가능했다”고 밝혔다.

2011년 평창이 개최지로 선정되자 IIHF는 한국 아이스하키에 개최국 자동 출전권 부여를 주저했다. 한국 아이스하키가 평창에서 망신을 당하면 IIHF가 곤란해진다는 이유에서다. 정 회장은 2013년 1월 대한아이스하키협회장을 맡아 인맥을 총동원해 IIHF를 설득했고 남녀 아이스하키 대표팀의 올림픽 본선 출전을 관철시켰다. 이후 평창 올림픽 본선까지 한국 아이스하키 대표팀의 기량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앞서 아시아에서는 쓰쓰미 요시아키, 가와부치 츠토무, 도미다 소이치(이상 일본), 보리스 알렉산드로프(카자흐스탄)가 II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