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7·8번은 중국서 함께 근무한 동료…87명 검사중

‘신종 코로나’ 7·8번은 중국서 함께 근무한 동료…87명 검사중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2-02 12:25
업데이트 2020-02-04 17: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확진환자 총 15명, 상태 ‘양호’

접촉자 총 683명 모니터링 진행 중
12·14번 확진자는 두번째 ‘부부 환자’
4·15번 확진자는 같은 비행기로 입국
귀국한 우한 교민 중 1명 확진 판정
유증상자 1차 7명, 2차 18명 모두 음성
이미지 확대
브리핑하는 정은경 본부장
브리핑하는 정은경 본부장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환자 3명 추가 등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2020.2.2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중 7번째 환자와 8번째 환자는 중국의 우한 국제패션센터 한국관 ‘더 플레이스’에서 함께 근무한 동료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13번 환자는 우한 교민, 14번 환자는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12번 환자의 부인이다.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 같은 내용과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증상자 87명을 격리해 검사하고, 확진환자의 접촉자로 파악된 683명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국내 확진환자는 이날 3명이 추가돼 총 15명이다. 15명 모두 상태는 안정적이며, 사망설이 돌았던 4번 환자도 안정적인 상태에서 폐렴 치료를 받고 있다.

확진환자를 제외한 조사대상 유증상자는 총 414명으로 이 가운데 87명은 격리돼 검사를 받고 있다. 나머지 327명은 음성 판정을 받아 격리가 해제됐다.
이미지 확대
추가 입소 우한 교민 태운 버스 방역
추가 입소 우한 교민 태운 버스 방역 2일 오전 충북 진천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 교민을 태운 버스 방역이 이뤄지고 있다. 2020.2.2 연합뉴스
이날 추가된 13번 환자(28세 남성, 한국인)는 우한 교민, 14번 환자(40세 여성, 중국인)는 전날 발생한 12번 환자의 부인이다.

15번 환자(43세 남성, 한국인)는 4번 환자(55세 남성, 한국인)와 지난달 20일 같은 비행기(KE882)를 타고 우한에서 인천공항으로 입국했다.

보건당국이 현재까지 파악한 확진환자의 접촉자는 683명이다. 아직 11번 환자와 13∼15번 환자의 접촉자는 파악되지 않아 접촉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8번 환자(62세 여성, 한국인)의 접촉자는 72명으로 이 가운데 3명이 증상이 있어 검사한 결과 2명은 음성으로 확인됐다. 1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다.

이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고 의료기관, 음식점, 대중목욕탕, 대형마트 등을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장소는 환경소독이 진행 중이다.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의료원 이송되는 ‘유증상 2차 우한 교민’
국립중앙의료원 이송되는 ‘유증상 2차 우한 교민’ 정부의 2차 특별 전세기편으로 귀국한 중국 우한 교민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의심 증상을 보인 탑승객이 1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 도착하고 있다. 2020.2.1 연합뉴스
8번 환자는 7번 환자와 23일 동일한 비행기(청도항공 QW9901)로 입국했다. 두 사람은 우한시에서 원래 알고 지내던 사이로 우한국제패션센터 한국관 ‘더 플레이스’에 함께 근무한 동료다.

일본에서 감염돼 입국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남성인 12번 환자의 접촉자는 14번 환자를 포함해 138명이다. 증상이 발현된 이후 의료기관, 음식점, KTX, 극장 등을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날 귀국한 ‘우한 교민’ 가운데 유증상자로 분류된 7명은 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1일 입국한 교민 367명도 유증상자를 포함해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31일 입국자 가운데 1명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