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몸, 지구 모든 존재와 연결되어 있다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몸, 지구 모든 존재와 연결되어 있다

입력 2019-11-28 17:54
업데이트 2019-11-29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세와 에코바디/몸문화연구소 지음/필로소픽/264쪽/1만 6500원

이미지 확대
지난 5일 세계 153개국 1만 1000명의 과학자들이 기후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인류 전체가 즉시 기후 위기에 대처하지 않는다면 인류는 전례없는 고통에 처할 것임을 경고하는 공동 성명이다. 한때 지구는 인간이 정복해야 할 대상이었고, 극복해야 할 환경이었다. 이제 지구는 ‘인류세’를 맞이했다. 인간이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넘어 거대한 지질학적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인류세는 인간 활동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인간에게 시시각각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의 위기이기도 하다.

‘인류세와 에코바디’는 몸문화연구소의 포스트휴먼 총서 세 번째 책으로 기획됐다. 우리가 직면한 인류세의 도래와 그 징후들을 주제별로 살핀다. 저자들이 일관적으로 제시하는 키워드는 ‘연결’과 ‘순환’이다. 지구는 거대한 연결망이며 우리의 몸은 지구에 있는 모든 존재들과 특정한 관계를 맺으며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와 이산화탄소 순환, 바디버든(몸 속에 쌓인 유해물질), 육식과 배양육, 플라스틱과 같은 개별 이슈들을 물질과 인간이 상호관련되는 구조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중 생태윤리학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후반부가 특히 흥미롭다. ‘갠지스강이 법인격을 가지는가’와 같은 질문들은 비인간존재들의 권리, 자연의 권리를 고찰하게 한다. 한편 여성이자 어머니의 모습으로 여겨져 온 ‘가이아’는 과거 인간의 자연에 대한 위계적 관점을 반영하지만, 현대의 가이아는 생물과 무생물의 총체적 시스템으로서 재평가되고 있다.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을 넘어서 인간을 지구 시스템의 한 요소로 인식하고 비인간존재들을 대해 온 우리의 폭력적인 태도를 반성하며, 자연과의 수평적인 관계를 고민하는 과정이 각각의 글에 담겨 있다.

거대한 시스템 지구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하나가 아닌 전체를, 연결과 구조를 주목하는 시선이 필요하다.

포스트휴먼 총서 기획의 다른 책들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 ‘포스트바디’도 마찬가지로 도래할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몸이 어떤 영향을 받으며 변화해 갈 것인가를 다룬다. 인간 이후의 포스트휴먼으로서 살아가는 방식을 고민하고 싶다면 함께 살펴봐도 좋을 것이다.

2019-11-29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