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전 의원 재혼…“쉽지 않았던 18년, 사랑으로 나갈 것”

김민석 전 의원 재혼…“쉽지 않았던 18년, 사랑으로 나갈 것”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9-11-25 17:20
업데이트 2019-11-25 17: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2년 대선 때의 선택...정치공학이 앞선 탓” 새로운 시작 앞두고 반성 전해

이미지 확대
미소짓는 김민석 민주연구원장
미소짓는 김민석 민주연구원장 김민석 민주연구원장이 28일 임기종료를 앞두고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민주연구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민석 원장은 “퇴임 시점에서 큰 시점에서 정국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며 “저대로 두면 한국당이 망할텐데, 대선은 박근혜가 망치고 지방선거는 홍준표가, 총선은 나경원이 망쳤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 같다”고 했다. 2019.4.28/뉴스1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원장을 지낸 김민석 전 의원이 다음달 12일 재혼한다는 소식을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지난 23일 밤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불쑥 쑥스러운 소식을 전한다”면서 “저 결혼한다. 다시 시작한다”고 전했다.

그는 재혼 상대에 대해 “소중한 사람을 만났다. 본인 나름의 여러 어려움을 헤쳐 왔지만 보통의 시민으로 평범하게 살아온 사람”이라며 “알고 지낸 지는 몇 해 되었는데 바닥으로 가라앉을 때의 제 모습을 지켜보고 붙잡아주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올해부터 같은 교회를 다니고 함께 새벽에 기도하며 마침내 결혼을 결심하게 되었다”며 “오래 깊이 사랑하며 행복하게 살고 싶다. 감히 축복을 청한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어쩔 수 없이 돌이켜보게 된다. 18년의 야인생활, 쉽지 않았다”며 “헤어짐의 아픔도 있었고, 아이들에 대한 미안함은 정말 힘들었다. 아이들 엄마와는 좋은 친구로 남았고 아이들도 아빠의 새 출발을 축하해줄 만큼 늠름하게 커주었으니 감사할 따름”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혼자되어 깊이 무너져 있었던 시간, 제 자신 얼마나 약한 존재인지를 뼈저리게 느꼈다”며 “약한 처지의 삶과 내면을 이해하는 것이 정치의 출발이라면 저는 이제야 비로소 그 입구쯤 섰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2002년 노무현·정몽준 대선 후보간 단일화 과정에서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해 정 후보측 국민통합21로 이적하면서 ‘철새 정치인’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당시도 언급했다.

그는 “2002년 대선 때의 선택은 제 삶을 극적으로 바꿨다.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자서전을 통해 후보단일화의 충정으로 이해해주셨으나 국민의 눈으론 용납될 수 없었다”며 “국민의 뜻보다 정치공학이 앞선 탓이었다”고 반성했다.

그러면서 “정치검찰의 표적 수사로 겪어야 했던 정치자금법 위반문제도 끈질긴 족쇄였다”며 “너무도 억울한 일이었지만, 정치적 방랑과 긴 기다림을 견뎌야 했다”고 회고했다.

그는 “영혼이 흔들리는 깊은 자괴감에 빠진 날도 적지 않았다”며 “자신감과 책임감에 넘쳤던 이삼십대를 보내고, 시련의 사십대 이후에도 쉬지 않고 달려왔지만, 크고 작은 깊은 상처들로부터 힘겹게 회복해온 시간은 오십대가 된 저를 정치란 무엇인가 매순간 고심하도록 변화시켰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지난 18년 거듭된 좌절과 깊은 상심, 오랜 반성을 통해 하나님과 국민의 뜻을 가장 무섭고 소중하고 감사하게 받들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며 “하늘의 도움과 주변의 격려가 없었다면 버텨오기 어려운 세월이었다. 이제 사랑까지 만나게 되었으니 새로운 힘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