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엄마의 김장/전경하 논설위원

[길섶에서] 엄마의 김장/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9-11-18 22:18
업데이트 2019-11-19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까지 김장은 집안 행사였다. 엄마가 입동이 지나고 주말 중 하루를 고르면 일정을 맞춰 엄마 집에 전날 늦은 오후부터 모였다. 재료를 씻고 다듬어 둔 뒤 다음날 아침 여자들은 양념 버무리기를, 남자들은 운반을 했다. 중간중간 생굴과 돼지 수육이 겉절이에 얹혀지면서 오랜만에 구성된 대가족은 웃어 가며 온갖 이야기를 나눴다.

올해 이런 풍경이 사라졌다. 팔순이 코앞인 엄마는 기력이 쇠해 진두지휘가 버거웠다. 나이와 함께 음식 솜씨도 사라지는지 지난해 담근 김장 김치가 영 맛이 없어 더욱 그랬다. 지난해 김장 김치가 여전히 김치냉장고 한쪽을 차지하고 있으니 자식들도 일 벌이기가 귀찮았다. 김치는 언제나 마트에 있고, 온라인에서 주문할 수 있으니까. 그래도 엄마는 지난 주말 알타리무 3단, 배추 3포기로 혼자 김장을 했단다. 늦가을 연례행사를 그냥 지나가려니 서운했던 거다.

맛난 김치 하나만 있으면 찌개, 전, 볶음 등 다양한 요리가 가능한데 든든한 기본이 없으니 허전하긴 하다. 김장문화가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을 때는 별생각이 없었는데 이제 그 의미가 다가온다. 엄마의 기력처럼 ‘집 김장’은 사라지고 다양한 이유의 ‘단체 김장’만 남는 것 같다.

lark3@seoul.co.kr

2019-11-19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