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혼밥이 차라리 낫다…의무적인 점심회식, 피로도 커”

“직장인 혼밥이 차라리 낫다…의무적인 점심회식, 피로도 커”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11-05 13:53
업데이트 2019-11-05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도 점심시간 ‘혼밥족’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있을까.

강요된 회식보다 혼밥이 피로도 측면에서 낫다는 주장이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 예일대 경영대학의 조직행동 전문가인 머리사 킹 교수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을 통해 “사무실에서 혼자 식사를 하는 것이 나쁜 행동이 아닐 수 있다”고 했다.

미국의 상당수 고용주들은 직원들끼리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 사무실 내 ‘혼밥’을 금지하거나 이른바 ‘런치 앤드 런’(lunch and learns) 등을 도입해 사교 활동을 강요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식의 사교 활동은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주장이다.

킹 교수는 캐나다 토론토대 로트먼 경영대학원이 2013년 직장인 103명을 대상으로 점심식사 형태와 퇴근 무렵의 기력에 대해 2주간 벌인 연구 조사 결과도 인용했다.

이 조사에서 가장 큰 피로를 호소한 이들은 회사 측이 마련한 점심 사교모임에 의무적으로 참가했던 직장인이었다.
이들은 점심시간에 자발적으로 사교 활동을 하거나 심지어 계속 일을 한 직장인보다 더 많은 피로감을 느꼈다.

반대로 혼밥족의 피로도는 가장 적었다.

킹 교수는 “사교 활동을 하면 보통 더 행복해지고 활기가 생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1~2시간 뒤에는 이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요된 사교 활동이 특히 여성과 소수자에게 무익하다고 킹 교수는 강조했다.

킹 교수는 “의무감에 점심을 함께하는 이들이 의미 있는 관계를 구축할 가능성은 책상에 계속 머물러 있을 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면서 “우리는 사회적 연결이 필요하지만 휴식할 때에는 잠시 떨어져 있을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