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총선 인재영입 경쟁… 기획단 띄운 민주당 vs 인선 끝낸 한국당

총선 인재영입 경쟁… 기획단 띄운 민주당 vs 인선 끝낸 한국당

신형철, 이근홍 기자
입력 2019-10-29 01:06
업데이트 2019-10-29 04: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 “목록 가득” 외부 인사 모시기…한국당, 여성 등 10여명 31일 1차 발표

손학규 “제3세력 정당화 추진… 접촉 중”
정의당, 노동인권 권영국 변호사 등 영입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경남 예산정책협의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 두 번째부터 박광온 최고위원, 이 대표, 민홍철 경남도당위원장. 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경남 예산정책협의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 두 번째부터 박광온 최고위원, 이 대표, 민홍철 경남도당위원장.
뉴스1
이미지 확대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황 대표는 “여의도연구원은 의원 정수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하길 바란다”고 했다. 왼쪽 두 번째부터 정미경 최고위원, 나경원 원내대표, 황 대표.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황 대표는 “여의도연구원은 의원 정수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하길 바란다”고 했다. 왼쪽 두 번째부터 정미경 최고위원, 나경원 원내대표, 황 대표.
연합뉴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인재영입 경쟁이 본격화했다. 더불어민주당이 28일 총선기획단을 설치한 가운데 자유한국당은 31일 1차 인재영입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가장 먼저 총선룰을 확정한 민주당은 외부 인사 영입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총선기획단을 설치한 데 이어 총선 인재영입위원회도 곧 발족할 예정이다. 인재영입위는 이해찬 대표 ‘1인 체제’로 운영되지만 대표가 직접 인재들을 만나기보다는 측근들이 인재를 만나는 방식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자천타천으로 당대표실에 추천된 인재목록이 가득 쌓여 있다”며 “대표가 직접 인재를 만나기보다는 주변 사람들의 역할이 클 것”이라고 했다.

31일 1차 인재영입 명단을 발표할 예정인 한국당은 극도로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차 인재영입 명단에는 여성과 청년층, 파워 엘리트 인사 10여명이 이름을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황교안 대표는 지난 6월 인재영입위원회를 출범시킨 뒤 보안 유지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한 인재영입위원은 “회의가 끝나면 관련 서류를 회수해 갈 정도로 신경을 많이 쓴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인적쇄신으로 직결되는 인재영입 과정에서 괜한 잡음을 야기할 경우 황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로운 제3세력을 정당화(政黨化)하는 걸 추진할 생각”이라며 “사람들도 접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손 대표의 공언과는 다르게 바른미래당은 극심한 내홍으로 인해 사실상 정상적인 인재영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손 대표는 ‘만나 본 사람 중 공개할 사람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그럴 건 없다”고 답했다.

정의당은 이날 노동인권 전문가인 권영국 변호사가 입당하면서 본격적인 인재영입의 시작을 알렸다. 권 변호사는 당 노동인권안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다. 또 김병욱·김하나 변호사와 김태영 민주노총 경북 본부장 등 노동활동가 6명도 정의당에 입당했다. 앞서 정의당은 지난달 영화감독 김조광수씨와 박창진 전 대한항공 사무장 등을 특위장으로 영입하기도 했다.

대안신당과 민주평화당은 각각 제2의 안철수·김대중을 찾겠다며 나섰지만 아직 결과가 신통찮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19-10-2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