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공격적 투자 득이냐 독이냐

정유업계 공격적 투자 득이냐 독이냐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9-10-27 17:54
업데이트 2019-10-28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MO 내년 1월부터 황 함유량 규제… 저유황선박유 시대 임박

현대오일뱅크 새달부터 신제품 판매
SK에너지 1조 설비투자 내년 초 완공
에쓰오일 복합석유화학 시설에 5조

선주들, 정화시스템 설치·LNG 쓸 수도
“검증 안 된 저유황선박유 선택 미지수”
협회측 “안정·편의성 감안 장기적 대세”

‘저유황선박유’라는 거대 시장이 내년에 열린다. 국내 정유업계는 이 시장의 주도권을 잡으려고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저유황선박유로 인한 정유사 실적 개선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며 최근의 대규모 투자가 되레 독이 될 우려마저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7일 업계 관계자는 “저유황선박유는 가솔린과 디젤 이후 사실상 신제품 출시가 없었던 정유업계에 아주 오랜만에 닥친 커다란 변화”라면서도 “하지만 변수가 너무 많다. 저유황선박유의 수요가 크게 늘지 않을 수도 있다. 정유업게가 마구잡이로 저유황선박유 생산을 늘렸다가는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온실가스와 산성비를 줄이고자 내년 1월 1일부터 전 세계 선박 연료유의 황 함유량 상한선 기준을 기존 3.5%에서 0.5% 이하로 강화해 규제한다. 정유업계는 이 규제(IMO 2020)가 시작되면 황 함유량이 적은 저유황선박유의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보고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신기술을 적용한 초저유황선박유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 다음달부터 제품 판매에 나선다. SK에너지는 1조원을 투자해 내년 초 완공을 목표로 황을 빼내는 설비를 만들고 있다. 에쓰오일은 복합석유화학 시설을 만드는 데 5조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저유황선박유가 IMO 2020을 충족하는 유일한 대안은 아니다. 선주들은 선박에 배출가스 정화 시스템 ‘스크러버’를 설치하거나, 아예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쓰는 선박을 도입하는 식으로 IMO 2020 기준을 통과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종전에 사용해 온 고유황선박유에 경유를 섞는 ‘블렌딩’을 선택하는 선주들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IMO 2020으로 저유황선박유의 수요가 크게 늘어 가격이 급등하면 선사 입장에서는 차라리 스크러버를 다는 게 이익일 수 있다”면서 “사고를 극도로 꺼리는 선주들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저유황선박유를 선택할지도 미지수”라고 말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여러 변수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안정성, 편의성 등을 감안했을 때 장기적으로는 저유황선박유가 대세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 아직 규제 시작 전인데도 고유황선박유 판매량이 떨어지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보인다”면서 “저유황선박유의 정제 마진은 고유황선박유보다 50% 이상 높다. 정유사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9-10-28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