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지운의 시시콜콜]전문직으로서의 기자직

[이지운의 시시콜콜]전문직으로서의 기자직

이지운 기자
입력 2019-10-25 16:52
업데이트 2019-10-25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자가 전문직인가 하는 데에는 여러 의견이 있다. 전문직은 대개 해당 직종에 진입할 때 일정한 장벽이 있다. 자격증 시험이 대표적인데, 미국 변호사 시험을 난간이나 빗장같은 의미를 가진 ‘바’(bar exam)로 표현하는 것과 같다. 우리 사회에 한 때 ‘기자 고시’라는 표현이 있었지만, 기자직에 고시가 없다는 건 누구나 안다. 개별 언론사가 저마다 시험을 치러 필요한 인력을 채울 뿐이다. 또한 전문직은 대개 ‘갱신’이라는 절차를 두고 있다. 일정기간이 지나 여전히 자격에 부합하는 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기자는 수십년을 해도 그런 게 없다. 다만 전문직에 필요한 일정한 직업윤리와 관련 지식, 경험 등이 기자직에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기자를 전문직으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이 형성된 것 같다. 전문직군이 가지는 ‘희소성’이 기자직에도 있는 점에서도 그렇다.

언론사가 넘쳐나고 ‘사이비 언론’이 기승을 부려 그 폐해가 사회적 문제가 될 때면 기자도 시험을 치러 자격증을 줘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곤 했다. 그러나 그런 폐해는 사회의 자정 능력을 통해 정화돼야 한다는 당위론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기자의 업무 영역 즉, 기사의 대상과 범위가 사회 전분야를 망라하고 있어 ‘기자에 필요한 능력과 자격’을 특정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다. ‘자격’을 부여하는 주체가 누가 되어야 하는지의 문제도 있다. ‘제4부’라 부를 만큼 중요하고 막강한 힘이 있다하니 무슨 자율적인 ‘협회’에 맡기기 곤란할 테고, ‘권위’로부터 최대한 멀어져야 기본 역할을 할 수 있는 직종이다보니 국가가 맡을 수도 없는 일이다.

그래도 중국에서는 기자도 점점 ‘전문직’화 되어가는 듯 보인다. 중국 신화통신의 최근 보도에, 중국 기자들은 5년에 한번씩 기자증을 갱신해야 한다고 한다. 앞서 2014년부터 기자윤리 등을 묻는 시험이 의무화됐다. 중국 공산당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사상을 당원들에게 학습시키기 위해 ‘학습강국(學習强國)’이라는 교육앱을 개발했는데, 시험에는 이것이 활용된다. 앱에 공개돼 있는 연습문제에는 시 주석의 발언과 당의 사상으로 어떤 게 맞는지 고르라거나, 시 주석의 정치이념인 ‘시진핑 시대의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본질적인 특징과 우수한 점을 고르라 등의 문제가 있다. 시험의 목적은 “규율에 따르려는 기자의 자각을 높이기 위해서”란다.

한국 언론사에는 ‘지사(志士)형 언론인상’이란 게 분명히 각인되어 있다. 신문의 역사가 시작된 구한말과 일제시대, 기자직에 상당한 압력과 위험이 따랐기 때문에 ‘우국지사’적 열정이 아니면 기자직을 수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1883년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 ‘한성순보’ 이래 1896년 ‘독립신문’, 1898년 ‘제국신문’, 1898 ‘황성신문’, 1904 서울신문의 전신 대한매일신보와 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까지 애국계몽운동이 민간에 전달되는 매개로서 신문의 역할이 컸다.

기자직이 전문직으로 규정되고 말고가 뭐가 중요할까. 전문직에 요구되는 직업윤리와 전문성이 있느냐가 문제다.

논설위원 jj@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