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140/90㎜Hg ‘정상수치’에 붙잡힌 현대의학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140/90㎜Hg ‘정상수치’에 붙잡힌 현대의학

입력 2019-10-17 17:26
업데이트 2019-10-18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숫자, 의학을 지배하다/제러미 A 그린 지음/김명진·김준수 옮김/뿌리와이파리/456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연말이 되면 뒤늦게 건강검진을 받으려는 사람들로 검진센터가 북적인다. 어디 아픈 곳 없는 사람들도 혈압을 재거나 채혈을 하는 순간에는 ‘혹시나’ 하는 생각을 한다. 검진은 일상이다. 채용 신체검사부터, 정기 국민검진, 직종에 따른 특수검진,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수많은 추가 검사를 포함하는 종합검진까지. 병원을 아플 때만 가는 게 아니다. 병에 걸리기 전에 예방하고, 발병하더라도 조기 발견해 빠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 됐다. 그런데 이 상식은 언제부터 우리 일상으로 자리잡은 것일까.

내과의이자 의학사가인 제러미 A 그린은 ‘숫자, 의학을 지배하다’를 통해 현대의학에서 질병이 규정되어 온 흐름을 검토한다. 반세기 전만 해도 미국 사회는 ‘증상 없는 질병’에 대해 지금처럼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겉으로 드러나는 분명한 징후 없이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등 숫자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하게 된 것은 최근 일이다. 그린은 이러한 질환의 경우 병을 치료하기 위해 약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약이 병을 규정하기도 했다고 말한다. 질병의 개념이 역학 연구와 더불어 의료산업 마케팅 활동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책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을 중심으로 이 질환들을 치료하는 약제 다이우릴, 오리네이스, 메바코의 역사를 면밀히 살핀다. 약과 질환의 관계는 복잡하다. 약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객관적 사물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질병을 연구하고 분류하는 도구로 쓰여왔다. 또한 약은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질병의 새로운 증상을 발현시킨다. 제약시장의 마케팅에 의해 질병의 개념 자체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증상이 분명하지 않은 만성질환의 경우, 고혈압의 기준이 140/90㎜Hg인 것처럼 정상과 질병을 구분하는 숫자가 필요하다. 이 숫자는 결코 고정값이 아니며, 당대 사회 속에서 숱한 논쟁과 갈등을 거쳐 합의된다. 그린은 현대의학과 의료시장, 제약산업이 복잡하게 맞물려 만들어내는 숫자들의 이면을 보여준다.

그린은 제약 마케팅과 만성질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면서 균형적 서술을 하고자 한다. 시장과 질병의 상호작용 자체를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 그 상호작용을 신중하게 관찰하고 이면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질병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해할 때, 우리가 현재 가진 질병 예방과 관리에 대한 믿음 역시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2019-10-18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