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철수 “獨 떠나 美유학”… 정계복귀, 득보다 실이 크다고 판단

안철수 “獨 떠나 美유학”… 정계복귀, 득보다 실이 크다고 판단

이근홍 기자
입력 2019-10-06 21:06
업데이트 2019-10-07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치 포커스] 국내 러브콜에도 귀국설 일축한 安

사진은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난해 7월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한 커피숍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차에 타고 있는 모습. 2018.7.12 연합뉴스
사진은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난해 7월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한 커피숍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차에 타고 있는 모습. 2018.7.12 연합뉴스
“美스탠퍼드 법대서 미래 먹거리 고민”
조국사태 등 정국 혼미… 실책땐 치명타
중도층 확대로 5계단 올라 ‘선호도 3위’
유승민 “필요하면 우주라도 가 만날 것”


바른미래당 안철수(얼굴) 전 의원이 국내 중도·보수 진영에서 쏟아지는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귀국설을 일축했다. 이에 따라 안 전 의원을 중심으로 제3지대 정계 개편을 구상해 온 바른미래당 등 중도 정치세력들의 ‘행동’도 뒤로 미뤄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안 전 의원은 6일 트위터를 통해 “오래전 계획했던 대로 10월 1일부터는 독일을 떠나 미국 스탠퍼드 법대의 ‘법, 과학과 기술 프로그램’에서 방문학자로 연구를 이어 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혁신 현장을 다니며 미래 먹거리에 대해 고민했다면 미국에서는 이런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법, 제도적 연구를 계속 이어 나가려 한다”고 했다.

안 전 의원이 지난달 30일 새 책 출간 소식을 알리며 1년 2개월 만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을 재개하자 그의 귀국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됐으나 이날 미국행 발표로 정계 복귀는 뒤로 미뤄지게 됐다. 안 전 의원 측근인 김도식 전 비서실장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안 전 의원은 이미 미국에 머물고 있는 상태”라며 “미국 체류 기한은 1년이지만 연구 진척 속도 등에 따라 귀국 시점은 달라질 수 있다. 총선 전이 될지, 이후가 될지 결정된 건 없다”고 했다.

안 전 의원이 귀국을 연기한 건 정치적 득보다는 실이 더 크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바른미래당 내분, 보수 통합, 조국 법무부 장관 사태, 연말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재충돌, 불투명한 북미 관계 등 예측하기 힘든 정치적 일정이 산적한 상황에서 귀국해 봐야 뚜렷한 해법을 내놓기 어렵고, 자칫 실책을 범하면 치명타만 입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 같다”고 했다.

최근 ‘조국 사태’로 보수와 진보 진영이 극심하게 대립하면서 중도층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안 전 의원에게 고무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4일 발표한 차기 정치지도자 선호도 조사(지난 1∼2일 전국 유권자 1004명 대상·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 포인트·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 안 전 의원은 7%의 지지를 얻어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함께 3위에 올랐다. 한 달 전 8위에서 무려 5계단이나 상승했다.

안 전 의원의 정계 복귀가 늦어지자 그와 함께 새판을 짜려는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은 속이 타는 모습이다. 유 의원은 지난주 안 전 의원에게 직접 연락해 귀국 시점 등을 물어봤지만 안 전 의원이 즉답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의원은 기자들에게 “안 전 의원의 미국행은 구체적으로 몰랐고 당분간 국내 정치 복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지금까진 분명한 답이 없었지만 변혁의 노력에 힘을 보태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유 의원은 청년 당원들과의 간담회 중 “필요하다면 (안 전 의원을 만나러) 미국이 아니라 우주라도 갈 수 있다”고 말했다고 김철근 대변인이 전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19-10-0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