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억→13억9400만명, 1인당 소비도 19.2배 늘어

인구 5억→13억9400만명, 1인당 소비도 19.2배 늘어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9-09-30 17:42
업데이트 2019-10-01 0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산층 사회 진입… 숫자로 본 70년

이미지 확대
중국 정부는 최근 ‘신시대 중국과 세계’라는 백서를 내고 건국 70년 성과를 소개했다. 기본생활조차 영위하기 힘든 가난한 나라에서 이제 의식주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중산층 사회로 성장했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부 분야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기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구는 1950년 5억 4100만명에서 지난해 13억 9400만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식량 생산량도 1949년 1억 1318만t에서 2018년 6억 5789만t으로 5배가량 증가했다. 도시화 수준도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중국 상주인구 도시화율은 59.6%로 개혁·개방을 시작한 1978년과 비교해 41.7% 포인트 상승했다. 1949년 132개이던 도시의 수도 지난해 672개로 급증했다.

국민의 건강 수준도 괄목할 만큼 개선됐다. 기대수명은 건국 초 35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는 77세로 높아졌다. 영아사망률도 1000명당 200명에서 6.1명으로 낮아졌다. 한 사람당 평균 교육기간은 1982년 5.3년에서 지난해 9.6년으로 늘어났다.

국민 삶의 질이 나아지면서 소비 수준이 높아졌다. 지난해 중국 국민총소득(GNI)은 9732달러(약 1168만원)로 중진국(1인당 소득이 4000~1만 달러에 속한 나라) 중에서도 상위권을 기록했다. 국민 1인당 평균 소비지출도 1만 9853위안(약 338만원)으로 1978년에 비해 19.2배 증가했다.

산업 생산도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현재 200여종의 산업품 생산량이 세계 1위다. 지난해 원탄 생산량은 36억 8000만t에 달해 1949년보다 114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철강재(11억 1000만t)와 시멘트(22억 1000만t)도 각각 8503배, 3344배 증가했다. 철도운영 거리는 13만 1000㎞로 1949년에 견줘 5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고속철도는 총연장이 2만 9000㎞로 전 세계 고속철도 노선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10-01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