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래유산 톡톡] 서울역·거리… 한국영화 대중성 기여한 ‘귀로’

[미래유산 톡톡] 서울역·거리… 한국영화 대중성 기여한 ‘귀로’

입력 2019-08-28 17:40
업데이트 2019-08-29 0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1967년 개봉한 이만희 감독의 ‘귀로’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됐다. 당시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의 표상을 내면화한 작품으로 1950~1960년대 신문매체의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 주는 멜로영화다. 한국영화의 전성기에 특히 인기가 높았던 멜로드라마는 신문소설을 원천으로 한국영화의 대중성에 기여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 속에서 한국전쟁 때 성불구자가 된 남자 주인공 동우(김진규 분)가 자신과 아내인 지연(문정숙 분)의 사생활을 신문소설로 연재한다는 것이 흥미롭다.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는 지연과 돌아가야만 하는 지연의 갈등 구조로, 서울역이 장소의 중심에 있다. 신문 연재소설을 신문사에 전달하기 위해 경인선을 타고 서울역에 도착한 지연은 고가, 육교, 지하도를 거치며 신문사로 향한다. 똑같은 코스를 역으로 밟아 다시 서울역까지 도착한 지연의 동선에는 정확한 시간을 지켜야만 한다는 의미가 숨어 있다. 지연은 서울 나들이에서 실존의 이유를 찾고자 한다.

지연은 소설가 남편과 익명의 대중으로부터 이중 감시를 받는 대상이다. 지연은 자신을 테두리 안에 가두려는 동우와 그 틀을 깨고 나오기를 원하는 대중의 욕망 사이에서 갈등한다. 또 한편 ‘이상이 없는 세상에 이상을 심어 준다’는 평가에 휘둘리는 자신을 자조적으로 바라본다. 영화 ‘귀로’는 이러한 내러티브에 “독자의 흥미와 모든 관심은 그 여인의 행동에 쏠려 있는 겁니다”, “여인의 자세에 벌써 변화가 왔어야 하는 거죠” 등 신문사 부장의 말을 빌려 오히려 당대의 고전적인 시각보다 인간다움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탈(脫)고전적인 관점을 언급한다.

지연은 자신에게 첫눈에 반한 신문기자 강욱(김정철 분)과 하룻밤을 보내고 집으로 돌아온다. 정원 한편에서 자신과 동일시하며 키우던 개가 동우의 총에 맞아 죽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지연은 여느 때와 같이 동우가 있는 2층 계단을 오른다. ‘귀로’ 속의 계단은 삶과 죽음, 구원과 파멸, 욕망과 죽음으로 대변된다. 지연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데, 이는 당시 가부장적인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던 피동적 인물을 스스로 없앤다는 상징적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김미선 서울도시문화지도사

2019-08-29 18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