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0년간 ‘100조’ 투입해도…OECD 꼴찌 ‘출산율 0명대’

10년간 ‘100조’ 투입해도…OECD 꼴찌 ‘출산율 0명대’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8-28 15:37
업데이트 2019-08-28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출산율 0.98명…고령산모 31.8%로 급증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기가 32만명대로 줄어들면서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이 사상 최저인 0.98명으로 떨어졌다. 지난 10년간 저출산 문제 해결에 무려 100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결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유일 출산율 1명 미만 국가’라는 오명을 쓰게 된 것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8년 출생 통계(확정)를 보면 작년 출생아는 32만 6800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다. 전년(35만 7800명)보다 8.7% 줄었다. 이런 감소폭은 지난 10년간 2017년(-11.9%)과 2013년(-9.9%)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수준이다.

합계출산율은 전년 1.05명에서 0.08명(-7.1%) 급감해 0.98명으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이 1.00명을 밑돈 것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2.1명의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OECD 36개 회원국의 2017년 기준 평균인 1.65명을 못 미치는 것은 물론 출산율이 두 번째로 낮은 스페인(1.31명)과도 큰 격차가 난 압도적인 꼴찌다. 대표적인 저출산국인 대만(1.06명), 홍콩(1.07명), 싱가포르 (1.14명), 일본(1.42명)보다 낮으며 유일하게 마카오(0.92명)만 한국 밑이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6.4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어들었다.

처음으로 20대 후반 출산율이 30대 후반보다 낮아졌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20대 후반이 30대 후반의 3배를 넘은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변화다. 평균 출산 연령은 32.8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평균 출산 연령은 첫째 아이는 31.9세, 둘째 아이는 33.6세, 셋째 아이는 35.1세로 전년보다 0.2~0.3세 늘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비중은 31.8%로 전년보다 2.4% 포인트 높아졌다. 2008년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14.3%였던 점을 감안하면 10년 만에 2배 이상으로 상승한 셈이다.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첫째 아이의 비중은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첫째 아이 비중은 54.5%로 전년 대비 1.8% 포인트 늘었다. 첫째 아이 구성 비중은 2011년 51.0%를 기록한 이후 8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첫째 아이는 17만 69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 1000명(-5.9%) 감소했고, 둘째 아이(11만 9700명)와 셋째아 이상(2만 8200명) 각각 1만 4100명(-10.5%), 6800명(-19.4%) 감소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60.6%로 전년보다 5.2%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2~3년 사이 출산 비율은 25.9%로 2.4% 포인트 증가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5.4명으로 전년보다 0.9명 감소했다. 셋째 이후 아이의 성비는 106.0으로 0.4명 감소했다. 혼인 외 출생아 수는 7200명으로 전년보다 200명 늘었고, 출생아 중 비중은 2.2%로 전년보다 0.3% 포인트 증가했다.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57명)이었고 이어 전남(1.24명), 제주(1.22명) 순이었다. 반면 서울(0.76명), 부산(0.90명), 대전(0.95명) 등의 대도시는 낮은 편이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서울(33.55세)이 가장 높고, 충남(31.95세)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전남 해남군(1.89명)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 관악구(0.60명)에서 가장 낮았다. 합계출산율이 인구 유지에 필요한 대체출산율(2.1명)을 넘는 지역은 모든 시군구를 통틀어 한 곳도 없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