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최첨단 소재 개발 역점…고부가 ‘신성장 발전소’

효성, 최첨단 소재 개발 역점…고부가 ‘신성장 발전소’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9-08-26 22:14
업데이트 2019-08-28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효성의 베트남 스판덱스 공장에서 현지 노동자가 제품 품질을 확인하고 있다.  효성 제공
효성의 베트남 스판덱스 공장에서 현지 노동자가 제품 품질을 확인하고 있다.
효성 제공
첨단소재 제조 기업인 효성이 미래 고부가가치 신성장 사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효성은 2020년까지 연 2000t 생산 규모의 탄소섬유 공장을 증설한다. 2011년 자체 기술로 탄소섬유를 개발한 효성은 2013년부터 전북 전주공장에서 연 2000t 규모로 생산해 오고 있다. 탄소섬유는 철을 대체할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효성중공업은 50년간 축적된 송·배전 분야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송전 사업 강화에 나선다. 먼저 한국전력, 전기연구원 등과 함께 2021년까지 전압형 초고압 직류송전 설비의 주요 부품을 국산화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 사업에도 박차를 가한다. 효성중공업은 지난 2월 서울 영등포구 국회와 강동구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효성티앤씨는 인도에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고 ‘인구 13억명’ 내수시장 공략에 나선다. 인도의 스판덱스 시장은 히잡 등 ‘무슬림 웨어’와 데님, 란제리, 스포츠웨어, 기저귀 등의 수요 상승으로 2012년 이후 연평균 16%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최근 자동차 수요가 급증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시장을 ‘타이어코드’로 파고들 계획이다. 타이어코드는 자동차 타이어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내부에 들어가는 섬유 보장재다. 효성의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4개국 타이어코드 시장 점유율은 2016년 22%에서 지난해 40%로 늘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19-08-27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