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학교 교가·교목 등에 일제잔재 여전, 교체 추진

경남 학교 교가·교목 등에 일제잔재 여전, 교체 추진

강원식 기자
입력 2019-08-13 15:07
업데이트 2019-08-13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지역 일선 학교 교가·교목·역사관 등 곳곳에 일제 잔재가 남아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남도교육청은 13일 도내 학교를 비롯한 모든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일제잔재 청산대상과 소녀상 설치 등 우리얼 살리기 교육사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4개 학교 교가가 친일 경력 작곡가 현제명(2개교)과 조두남(2개교)이 작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경남도교육청 제2청사앞에 건립된 기억과 소망 소녀상
경남도교육청 제2청사앞에 건립된 기억과 소망 소녀상
또 1개교는 최남선이 작사한 교가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교육청은 친일 경력 음악가들이 만든 교가는 해당 학교 공동체와 협의를 해 바꿀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가이즈카 향나무를 교목으로 지정한 학교도 10개교로 조사됐다. 도교육청은 일본 향나무 교목도 해당 학교와 의논해 우리나라 고유 나무로 교목을 바꿀 예정이다.

7개 학교에는 일제강점기 교장을 지낸 일본인 교장 19명의 사진이 역사관 등에 전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제강점기 졸업사진에 일본 군국주의 상징인 욱일기가 포함된 사례도 조사됐다.

도교육청은 해당 학교 일제 잔재 사진들도 철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주변에서 사용하는 일제식 교단 언어인 ‘졸업사정회’를 ‘졸업평가회’로 바꾸겠다는 학교도 있었다.

일부 학교에 일제 잔재가 여전히 남아 있는 가운데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체험활동, 독립운동 후손 명패달기, 경술국치일 찬죽먹기, 고교생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 등 우리얼 살리기 사업 및 활동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을 기억하고 평화를 염원하기 위한 소녀상이 도내 교육기관 42곳에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교육 관련 동아리가 초등학교 20개교(575명), 중학교 68개교(1039명), 고등학교 116개교(1857명)에 구성돼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최둘숙 도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일본의 무역 보복과 독도영유권 주장 등에 맞서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중장기 교육사업을 꾸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