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배고파야 사냥해… 인간들아 욕심 그만 부려

나는 배고파야 사냥해… 인간들아 욕심 그만 부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9-08-08 17:26
업데이트 2019-08-09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연은 민주적으로 자원 나누며 공존… 인류의 탐욕 줄이는 ‘共生共貧’ 모색

이미지 확대
프랑스의 사진가 자크 앙리 라르티그의 작품 ‘The Zyx 24 Take off, Rouzat. 1910’. 잠깐 하늘을 나는 쾌감을 위해 많은 돈을 들인 부르주아들과 그 아래 잘 보이지 않는 지점에서 행글라이더를 끄는 노역을 하고 있는 한 사내의 모습이 함께 포착됐다.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발전이 가져다준 물질적 풍요가 소수의 상류층 부자에게 집중됐다는 걸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음 제공
프랑스의 사진가 자크 앙리 라르티그의 작품 ‘The Zyx 24 Take off, Rouzat. 1910’. 잠깐 하늘을 나는 쾌감을 위해 많은 돈을 들인 부르주아들과 그 아래 잘 보이지 않는 지점에서 행글라이더를 끄는 노역을 하고 있는 한 사내의 모습이 함께 포착됐다.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발전이 가져다준 물질적 풍요가 소수의 상류층 부자에게 집중됐다는 걸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음 제공
스피노자의 거미/박지형 지음/이음/280쪽/1만 5000원

네덜란드의 한 외딴집. 철학자 스피노자가 거미줄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파리 한 마리를 잡아 던지자 거미가 잽싸게 기어나와 거미줄로 동여맨 뒤 체액을 빨아 먹는다.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던 스피노자가 흥미롭다는 표정을 짓는다. 보통 사람이 그랬다면 정신병자 취급을 받기 십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스피노자가 누군가. ‘철학자의 철학자’로 불리는 이다. 그의 기이한 행동에는 분명 합당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후대의 철학자들은 스피노자가 먹이 잡는 거미를 관찰하며 인간의 탐욕이 초래하는 갈등을 어떻게 이성의 힘으로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풀이한다. 동물들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먹이를 죽인다. 그러나 사는 동안에 포식자와 피식자 간에 억압적 관계가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사회는 다르다. 소수가 자원을 독점하고, 다수를 억압하는 관계가 끊임없이 되풀이된다. 그렇다면 자연과 인간사회 중 어디가 더 민주적인 걸까?

자연은 ‘피칠갑을 한 이빨과 발톱’이 난무하는 싸움터가 아니라 ‘민주적’인 자원 배분이 이루어지는 공존의 터전이다. 피식자가 늘 포식자에게 먹히기만 한다면 약자는 완전히 도태될 것이고, 생태계에는 소수의 최상위 포식자만 남게 될 것이다. 한데 자연은 그렇지 않다. 종다양성은 날로 더해지고, 건강한 먹이사슬이 이어진다. 인간의 개입이 없을 때 더욱 그렇다. 이처럼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동물들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보이지 않는 손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근대 자본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 그게 바로 새 책 ‘스피노자의 거미’가 밝히려는 궁극의 목표다.

저자가 자연 생태계에 초점을 맞춘 건 사회의 올바른 구성 원리를 고민하던 스피노자가 거미 관찰에서 영감을 얻었던 것과 맥락이 같다. 자연에서 얻은 생태적 상상력이 한계에 이른 근대 민주주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쉽게 말해 자연에서 민주주의를 배우자는 것이다.

“세상은 충분하지 않다.” 16세기 해가 지지 않는 에스파냐 제국의 모토였던 말이다. 한계를 모르는 정복자의 탐욕뿐 아니라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사회 갈등의 원인을 잘 드러낸다. 정말 세상은 충분하지 않을까. 마하트마 간디가 이에 대한 대답을 남겼다. “지구의 자원은 모든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만 모든 사람의 탐욕을 충족시킬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

세상의 자원은 모두의 필요를 채울 만큼 넉넉하다. 문제는 자기 몫 이상을 원하는 탐욕스런 이가 다른 이의 몫을 빼앗아 자신의 욕심을 채우려 할 때 생겨난다. 대표적인 예가 베네수엘라다. 막대한 석유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 역사의 잔재를 극복하지 못하고 국가 붕괴의 위기에 처했다. 베네수엘라 사태는 그 처참한 실패 사례를 통해 진짜 문제는 자원의 총량이 아니라 가용한 자원의 민주적 배분과 관리에 있다는 것을 웅변하고 있다.

저자의 주장은 공생공빈(共生共貧)에 가까워 보인다. 여기서 ‘빈’(貧)은 가난과 결핍이 아니라 ‘기꺼이 가난할 줄 안다’는 의미에 가깝다. ‘빈’ 자의 형태를 풀어 보면 조개(貝)를 나누는(分), 즉 자원을 나눠 갖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내가 가진 자산 중 덜 필요한 것들을 기꺼이 ‘나눔박스’에 담아 내 소유와 욕망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 어쩌면 이 작은 일이 공존의 터전으로 가는 첫걸음일 수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9-08-09 3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