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가르침대로 이웃사랑 실천했을 뿐인데 큰 파장”

“종교 가르침대로 이웃사랑 실천했을 뿐인데 큰 파장”

김성호 기자
입력 2019-08-06 00:04
업데이트 2019-08-06 0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법당 훼손 사과’ 손원영 서울기독대 교수

이미지 확대
손원영 서울기독대 교수
손원영 서울기독대 교수
“기독교의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는 작은 몸짓일 뿐인데 파장이 크게 확산됐습니다. 한국 교회가 정도를 걷는 작은 발판이 됐으면 합니다.”

2016년 1월 한 개신교 신자의 김천 개운사 법당 훼손을 대신 사과했다가 학교 측으로부터 파면된 손원영(53) 서울기독대 교수. 다음달 6일 결심공판을 앞두고 “덤덤하다”면서도 학교로 빨리 복귀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손 교수는 불교계에 사과하고 지인들과 법당 복구 모금운동을 벌였다가 2017년 2월 파면당했다. 학교 측은 설립 정신과 신학적 정체성 훼손을 이유로 들었지만, 손 교수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처사였다고 한다. 그해 6월 초 파면 무효 확인소송을 제기했으니 벌써 2년 2개월째 재판이 진행 중이다. 손 교수는 1심과 1심 가처분 소송에서 모두 승소했지만 학교 측이 항소해 복직이 이뤄지지 않았다.

실직 상태로 몇몇 학교에서 강의를 이어가며 근근이 해결하는 생계의 어려움도 크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뜻을 폄훼하는 학교 측이 여간 서운한 게 아니다. “학생들에게 늘상 이론보다 이웃사랑의 실천을 더 강조했어요. 종교, 특히 불교와 개신교 간 갈등이 자주 발생하던 무렵 종교평화의 작은 실천차원에서 대신 사과하고 사찰 측에 복구의 도움을 주려고 나선 것 뿐인데….”

개인적으로 마음 고생이 많았지만 자신의 사건을 계기로 종교계 안팎에서 평화의 연대 움직임이 움트고 자리잡게 돼 고맙단다. 재판 과정에서 교수와 연구자, 일반 시민 2501명이 재판부에 손 교수의 종교 평화를 지지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신학자와 불교학자 20여명은 손 교수 사건을 계기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토론 모임을 시작해 3년째 이어오고 있다. 개신교, 불교, 천주교를 포함한 종교인들은 종교평화연대를 결성해 3·1운동 100주년과 상해 임시정부 탄생 100주년인 올해 공동행사도 진행했다. 손 교수는 얼마 전 모임에서 우연히 만난 한 사찰의 스님이 정중하게 인사하며 고맙다는 말을 전해 와 울컥했다고 한다.

손 교수는 학교 측을 상대로 힘겹게 법정 투쟁을 하고 있지만 서울기독대 재단이 속한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단 한번도 가벼이 여긴 적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 어떤 신학자보다도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의 으뜸 정신인 ‘예수님 사랑으로 돌아가자’는 환원주의를 존중하고 철저히 지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손 교수는 법정 투쟁의 와중에서도 교회를 뛰쳐나온 ‘가나안 성도’들에게 좋은 신앙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목회를 장소를 옮겨가며 잇고 있다.

글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사진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019-08-0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