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홍콩 반환 후 첫 회견 “폭력 응징이 우선…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

中, 홍콩 반환 후 첫 회견 “폭력 응징이 우선…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7-29 22:02
업데이트 2019-07-30 0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 Zoom in] “홍콩 번영·안정 훼손… 법치 지킬 것”

홍콩 공무원 새달 2일 도심 집회 신청
경찰은 물대포에 물감 섞어 체포 방침
NYT “시위 근본 원인은 경제 불평등”
이미지 확대
양광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 대변인이 29일 베이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홍콩 시위와 관련해 강경 발언을 하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양광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 대변인이 29일 베이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홍콩 시위와 관련해 강경 발언을 하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홍콩의 시위가 전방위로 확산될 조짐이다. 시민은 물론 공무원까지 가세할 뜻을 밝힌 가운데 홍콩 경찰은 시위 확산을 막기 위해 물대포까지 동원할 방침이다.

2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에 따르면 홍콩 공무원들은 다음달 2일 홍콩 도심인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에서 집회를 열기로 하고 경찰에 집회 허가 신청서를 냈다. 앞서 25일에는 정책혁신사무처 등 행정실무 책임자급 400여명이, 26일에는 간부급 공무원 100여명이 ‘백색 테러’ 사건을 진상조사하는 독립위원회 구성을 요구하는 청원을 제출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며 “폭력 응징이 먼저”라고 경고했다.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 양광 대변인은 “홍콩 시위가 평화로운 시위의 범위를 넘어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훼손하고 있으며 법치와 사회질서 등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며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폭력을 응징하고 법치를 지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가 홍콩 내정과 관련된 별도 기자회견을 한 것은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처음으로, 이는 중국이 홍콩 시위를 그만큼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얘기다. 홍콩 경찰도 이에 발맞춰 지난해 독일에서 도입한 물대포를 다음달 중순 시위 진압에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경찰은 물대포 물에 물감을 섞어 시위자를 쉽게 식별해 체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50일 넘게 이어지는 홍콩 시위의 근본적 원인은 경제적 불평등 때문이라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지적했다. 물론 표면적 이유는 ‘범죄인인도법안’(송환법) 철폐와 ‘친중파’인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의 사퇴, 중국 정부의 지배력 강화에 대한 반발 등이다. 하지만 시위가 확산된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대표적 사례로 주거 문제를 꼽았다. 홍콩인 21만명이 ‘새장’, ‘관’이라고 불리는 불법 개조 아파트에 산다. 기존 방을 칸막이로 세분한 불법 개조 아파트의 면적은 4.46㎡(약 1.35평)에 불과하다.

더 큰 문제는 자신의 수입으로 주거비와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다는 데 있다. 홍콩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4.82달러(약 5700원), 한국의 68% 수준이다. 불법 개조 아파트에 사는 대졸자 케네스 룽(55)은 “더 좋은 교육을 받으면 수입이 늘 것이라 생각했지만 대학교육은 받을 수 있어도 돈은 벌 수 없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룽은 하루 12시간, 1주일에 6일을 경비원으로 일하며 시간당 5.75달러를 번다. 월세로 512달러를 내고 나면 생활비가 부족하다. 집값이 3배 뛸 동안 실질임금은 제자리걸음이고 아파트 평균가격은 연평균 가구소득의 20배가 넘는다. 이런 절망적 상황에 빠진 젊은이들이 시위를 통해 누적된 불만을 분출하고 있다고 NYT는 분석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7-30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