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도시의 희망 삶과 삶 잇는 ‘사랑방’

회색 도시의 희망 삶과 삶 잇는 ‘사랑방’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25 18:06
업데이트 2019-07-26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3의 장소/레이 올든버그 지음/김보영 옮김/풀빛/464쪽/2만 6000원

오스트리아 출신 건축가 빅터 그루엔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넓은 집과 오스트리아 빈의 작은 집을 오가며 산다. 그루엔은 LA에서 집 밖에 나가길 주저한다. 한 번 나가려면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장시간 운전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빈에서의 생활은 다르다.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콘서트홀과 오페라극장 등 공연장이 있고, 다양한 식당과 카페, 가게도 많다. 빈에서는 길을 걷다가 혹은 카페에서 친구를 종종 만나 즉석에서 어울린다. LA에 있는 집이 빈의 집보다 훨씬 넓지만, 즐거움은 이에 훨씬 못 미친다.

●가정·일터 밖 교류위한 공공장소

가정이나 일터는 우리가 살아가는 주된 공간이다. 그러나 이 두 곳만 오가며 살 수는 없다. 그래서 우리는 가정과 일터 밖에서도 교류 활동을 추구한다. 미국의 사회학자 레이 올든버그는 이를 ‘비공식적 공공생활’이라 이름 짓고, 이런 공간을 책의 제목인 ‘제3의 장소’라는 개념으로 정리했다. 제3의 장소는 가정과 일터 밖에서 다른 사람과 즐겁게 어울리려고 자발적으로, 격식 없이 자주 찾는 공공장소를 가리킨다. ‘제1의 장소’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정이다. ‘제2의 장소’는 일터로, 생계수단을 제공하고 물질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개인이 사회생활을 하며 시간을 구조화하도록 돕는다.

●여러 계층 사람들 모여 공론 형성

누군가는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겠다. “제3의 장소가 굳이 필요한가?” 그러나 앞서 본 그루엔의 사례처럼, 제3의 장소는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저자는 3개의 장소가 마치 삼각대의 발처럼 서로 받치고 있다고 설명한다.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면 삶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저자는 세계 각국의 제3의 장소를 살펴보고, 그 역사를 따졌다. 그리고 이 장소가 단순한 신체적인 휴식과 재미만 주는 곳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제3의 장소는 주로 ‘중립지대’에 존재하며, 이곳에 드나드는 이들을 수평화하는 데 기여한다. 직장과 달리 사람들이 아무 때나 이용할 수 있도록 열려 있으며, 외관보다는 드나드는 이들에 의해 분위기가 좌우된다. 이곳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은 ‘대화’다. 그리고 이런 효과들이 얽히면서 때론 사회 변화에도 이바지한다.

●도시계획으로 사라져 삶 황폐화

영국 사교 클럽의 전신이자, 지금의 카페의 모태이기도 한 커피하우스가 대표적인 사례다. 1652년 영국 런던 콘힐에 첫 커피하우스를 연 뒤 여러 곳이 생겨나며 인기를 끌었다. 초기에는 단골의 구성이 민주적이었다. 소매치기, 사기꾼, 건달은 물론 시민, 변호사, 재판관이 함께 어울렸다. 이들은 왕과 귀족을 비판하면서 이른바 ‘공론’을 형성하기도 했다.

책은 1989년 초판 출간 이후 도시사회학의 중요한 저작으로 자리잡았다. 이번에 출간한 책은 1999년 개정판으로 국내 번역은 이번이 처음이다. 저자는 거주민의 삶과 의견을 고려하지 않은 당시 미국의 도시계획에 따라 제3의 장소가 급격히 줄며 삶을 황폐하게 한다고 경고했다. 제3의 장소를 복원하면 공동체를 되살릴 희망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서고, 지방은 인구 감소가 빠르게 진행하면서 제3의 장소가 급격히 줄어든 우리 상황과 비슷하다. 특히나 일자리 감소로 제2의 장소까지 부족한 우리로선 이 책을 다시 꺼낼 이유가 충분한 셈이다.

●제3의 장소 복원 땐 공동체 회복 효과

저자는 제3의 장소를 기반으로 한 자연스러운 만남이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봤다. 휴식이나 여가가 소비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집에서 좀더 편하게 쉬기 위해 집 꾸미기에 돈을 쓰고, 쉬는 날이면 차를 몰고 교외로 나가는 이유와도 연결해 볼 수 있겠다. 쉽게 말해, 제3의 장소가 줄면 쉬거나 뭔가를 즐기는 데에 돈을 더 많이 쓴다는 뜻이다. 정부 정책으로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여가가 늘어난 우리로선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제3의 장소를 건전하게 복원해야 할 필요성을 30년 지난 책에서 다시 찾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7-26 36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