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헐값 이주 노동자를 선장으로 고용… 안전교육은 애초 사치였다

헐값 이주 노동자를 선장으로 고용… 안전교육은 애초 사치였다

이하영, 김지예 기자
입력 2019-06-07 01:46
업데이트 2019-06-07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헝가리 참사 낳은 열악한 노동 환경

자국민 선장은 연봉 높은 서유럽 이주
일손 달린 유람선들 외국인 대거 고용
가해 크루즈 선원 주105시간 근무 악명
근무 늘어도 수당 없는 ‘노예법’ 논란도
사진은 지난 4일(현지시간) 오후 헝가리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참사 지점인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머르기트 다리 인근에서 수색요원들이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인 모습. 2019.6.4 연합뉴스
사진은 지난 4일(현지시간) 오후 헝가리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참사 지점인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머르기트 다리 인근에서 수색요원들이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인 모습. 2019.6.4 연합뉴스
“저임금 외국인 선장을 계속해서 들여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출신은 그중에서도 가장 적은 돈으로 고용할 수 있는 인력이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다뉴브 강변에서 5일(현지시간) 만난 유람선 업체 직원 A씨는 최근 이 업계의 인력 수급 상황을 이렇게 전했다. 현지 관계자들에 따르면 유람선 업체들은 최근 몇 년간 저렴한 인건비를 주고 이주 노동자를 선장으로 대거 고용했다. 헝가리 관광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외국인 선장들을 급히 현장에 투입했고 이 과정에서 안전 교육은 뒷전으로 밀렸다는 것이다. 최악의 유람선 침몰 사고의 배경에는 값싼 노동력 유입과 열악한 노동 환경이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A씨는 “서유럽에서 배를 몰면 동유럽에서 받던 연봉보다 3배는 더 받기 때문에 실력 있는 동유럽 선장들은 네덜란드와 같은 서유럽 국가로 넘어간다”며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들은 선장이 부족해 싼값에 외부에서 선장을 들여오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 선박 업체의 직원 B씨도 “작은 업체는 오히려 대를 이어 오랜 적응과 경험을 거쳐 선장직을 맡는 방식이 지켜지지만, 크루즈를 소유한 대형 회사는 외국인 선장을 고용해 최대한 빨리 투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왜곡된 유람선 노동시장의 문제점은 가해 선박인 바이킹 시긴호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바이킹 시긴호를 소유한 바이킹 크루즈사의 근무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스위스 언론 SRF는 “바이킹 크루즈사 직원들은 시간당 4유로(약 5300원)를 받고 하루 15시간 동안 주 7일 일했다”면서 “이를 버티지 못한 인력의 이탈도 잦았다”고 보도했다. ‘유리 C’(64)로 알려진 가해 선박 선장은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허블레아니호 침몰 후 교신에서 서툰 3개 언어를 한 문장에 섞어 얘기하는 등 헝가리어 소통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배를 운항했다.

열악한 노동 환경은 최근 헝가리 사회에서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그동안 헝가리는 부족한 노동력을 주변 동유럽 국가의 이민자들로 채워 왔다. 보수파인 오르반 정부는 이민자 유입을 통제하면서 부족한 노동력을 자국 노동자들의 노동시간 확대로 메우려고 했다. 지난해 12월 12일에는 연간 초과근로 시간을 250시간에서 400시간으로 늘리고 연장근로 수당 지급을 3년간 유예하는 노동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헝가리 노동계는 이를 ‘노예법’이라고 부르며 저항하고 있다.

서대성 한국외대 헝가리어과 교수는 “헝가리 노동자들은 고임금을 쫓아 서유럽으로 가고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의 저렴한 노동력이 헝가리로 들어오고 있다. 이 중 상당수는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관광업으로도 유입된다”면서 “최근 헝가리는 임금 상승 요구가 폭발하면서 노동 쟁의도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다페스트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서울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9-06-0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