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성시, 미세먼지 저감 위해 능동적으로 대응

안성시, 미세먼지 저감 위해 능동적으로 대응

김병철 기자
입력 2019-04-25 16:38
업데이트 2019-04-25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세먼지 추경 12억원 편성, 국비 93억원 신청

지난 8일 경기남부지역 6개시 단체장들이 미세먼지 공동 협의체 구성을 위한 사전회의를 개최했다. (왼쪽부터)김건 경기도 환경국장, 서철모 화성시장, 곽상욱 오산시장, 정장선 평택시장, 우석제 안성시장, 엄태준 이천시장
지난 8일 경기남부지역 6개시 단체장들이 미세먼지 공동 협의체 구성을 위한 사전회의를 개최했다. (왼쪽부터)김건 경기도 환경국장, 서철모 화성시장, 곽상욱 오산시장, 정장선 평택시장, 우석제 안성시장, 엄태준 이천시장
경기 안성시가 전국 1위의 미세먼지 오염 지역이라는 오명을 씻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연내 다양한 특화 사업에 착수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12억원의 추경 편성과 함께 국비 93억원을 신청했다.

25일 안성시와 대기오염조사기관 에어비주얼에 따르면 지난해 안성시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9㎍/m³, 초미세먼지 농도는 30㎍/m³, 초미세먼지 나쁨일수는 120일을 기록하며 대기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시의 대기오염은 인근 평택항의 선박이나 트럭의 오염물질과 충남지역의 석탄화력발전소의 직접 영향 등 대부분 외부의 요인 때문이다. 하지만 시는 자구책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특화 사업을 추진해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비상저감조치 강화 ▲저감사업 확대 ▲기반시설 확충 ▲지원사업 확대 ▲시민홍보 강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5대 분야 핵심 사업 21개를 추진하고 이를위한 재원 12억원을 1회 추경에 편성했다.

안성시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보면 우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에는 공무원이 휴일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15톤 살수차 16대가 주요 도심을 운행하며 먼지를 잡는다.

상시적으로 저감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도 강화된다. 대형 공사장이나 미세먼지 발생사업장 위주의 단속과 자동차 배출가스도 수시 점검한다. 노인요양시설이나 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89개소에 대한 실내공기질에 대한 지도점검도 연중 실시된다.

시는 또 현수동 78번지 일원에 33억원의 예산을 들여 수소충전소 1기, 전기차 충전소 10기 등의 친환경자동차 복합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자동차와 이륜차의 구매 보조금 8억 8700만원을,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보조지원 사업 및 LPG화물차 신차구입에 21억 30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미세먼지 현황을 시민들에게 신속하게 안내하기 위해 가사동 삼거리 근처에 대형 전광판이 신규 설치되며 주요 시가지 10곳에 미세먼지 정보 알리미 설치도 확대된다.

이밖에 다중집합소나 노인정 등에 공기청정기를 지원하고 65세 이상 노인에게 미세먼지 마스크를 무상 보급하고 공공시설에 미세먼지 마스크 자판기 시범 설치는 물론 도로변 오염물질 재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클린로드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장기적인 대처를 위한 나무심기도 병행한다. 안성의 허파인 서운산 자락인 금광면 상중리 일대에 푸른 숲을 조성하기 위한 ‘배티고개 산림생태축 복원사업’에 총 57억 6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마무리한다.

우석제 안성시장은 “미세먼지로부터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재난구조 수준으로 대책을 운영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 원인에 대해서는 경기남부권 6개시 미세먼지 공동대응협약을 추진해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평택·화성·이천·오산·여주·안성시 등 6개 시 단체장은 지난 8일 평택시청 대회협력실에서 미세먼지 공동 협의체 구성을 위한 사전회의를 개최하고 공동연대를 통해 서로의 역량을 결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