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늘리랬더니… 고려대, 2021학년도 교과전형 3배 확대

정시 늘리랬더니… 고려대, 2021학년도 교과전형 3배 확대

유대근 기자
입력 2019-04-24 18:08
업데이트 2019-04-25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정시 확대 안하면 지원사업서 배제

고대 측 ‘교과전형 높으면 제외’ 허점 노려
학부모단체 “민심 거스르고 있다” 규탄

고려대가 현 고교 2학년생이 치를 2021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학생부 교과전형 선발 비율을 현재보다 3배가량 늘리기로 했다. 교과전형은 원래 내신 성적 위주로 뽑는 방식인데 고대의 교과 전형은 ‘변형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으로 평가받는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으로 뽑는 정시 전형 확대를 유도한 정부 방침에 반한 결정이라 향후 논쟁이 예상된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고려대는 지난달 말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학생부교과전형(학교추천Ⅰ)을 30%로 늘리는 안을 담은 2021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계획을 제출했다. 현재는 신입생의 10.5%(400명)만 이 전형으로 뽑는다. 대신 학종(학교추천Ⅱ) 비율 등을 약간 줄이는 등 조정하기로 했다. 일부 대학은 내신 성적 100%로 이 전형 합격자를 가리지만, 고려대는 2020학년도 기준으로 내신과 면접을 모두 본다.

고려대의 선택은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대입 개편 공론화 과정을 거쳐 모든 대학에 “2022학년도까지 정시 비율을 최소 30%로 확대해 달라”고 권고했다. 따르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서 배제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사실상 강제한 셈이다. “수능으로 뽑는 게 가장 공정한 입시”라는 여론을 반영한 결과다. 다만 교과전형 비율이 30% 이상 되는 학교는 수능 비율 확대 권고 대상에서 제외했다. 현재 교과전형 비율이 높은 학교는 대부분 지역대여서 정시 확대의 타깃이 아니라고 본 것이다. 고려대는 허점을 노린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려대의 교과전형은 학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정성 평가인 학종은 합격과 불합격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없어 많은 학부모들로부터 ‘깜깜이 전형’이라는 불만을 사 왔다. 이 대학의 교과전형은 내신 성적으로 3배수 추린 뒤 면접을 통해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또 수능최저학력기준(수시 최종 합격을 위해 최소한 받아야 하는 수능 등급)도 달성해야 한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내신, 수능, 면접을 모두 잘 본 학생을 뽑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고려대의 방침이 알려지자 정시 확대를 주장해 온 학부모단체는 반발했다.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이날 오전 서울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시 대신 교과전형을 확대하는 고려대와 정시 확대 계획이 없는 서울대는 민심을 거스르고 있다”고 규탄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9-04-2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