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화폐 인물/이종락 논설위원

[씨줄날줄] 화폐 인물/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9-04-10 22:44
업데이트 2019-04-11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폐는 경제활동의 교환수단이지만,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 사상을 보여 준다. 화폐는 그 나라의 얼굴로서 각자의 나라를 대표하는 인물을 넣어 상징성을 높인다. 세계 지폐 80% 이상의 주인공은 역사적으로 큰 업적을 남겼거나 국가 정체성을 잘 보여 주는 이들로 발탁된다. 화폐 도안에 인물이 많은 이유는 개개인의 인상과 개성이 뚜렷해 위변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구한말 한반도 경제 침탈의 선봉에 섰던 인물인 시부사와 에이이치를 1만엔권 새 지폐에 그려 넣어 2024년부터 발행하겠다고 그제 발표했다. 시부사와는 제1국립은행과 도쿄가스 등 500여개 회사 경영에 관여한 사업가로 일본에서 추앙받는 인물이다. 하지만 시부사와는 우리나라에서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 사장을 맡아 한반도에 대한 경제 침탈에 앞장섰다. 특히 일제의 이권 침탈을 위해 1902년부터 1904년까지 한반도에서 지폐 발행을 주도하면서 자신의 초상을 1원, 5원, 10원권 지폐에 그려 넣게 했다. 앞서 대한제국은 1901년 외국 돈의 유통 금지와 금본위 제도의 채택을 내용으로 하는 자주적 화폐 조례를 발표했지만, 일제에 의해 무산됐다.

우리나라는 1000원권에 퇴계 이황, 5000원권에 율곡 이이, 1만원권에 세종대왕, 5만원권에 신사임당의 초상을 새겨 넣었다. 모두 조선시대 인물이다. 미국, 중국, 스코틀랜드, 베트남,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는 독립과 건국 위업을 세운 현대 지도자의 모습을 주인공으로 삼는다. 한국은행은 2007년 11월 국민 여론 수렴을 거쳐 2009년에 발행될 10만원권에 백범 김구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보수 우익 단체들이 ‘10만원권은 이승만, 5만원권은 박정희’라는 주장을 펼치는 등 정치 이슈화가 되자 이듬해 10만원권 발행 자체를 취소해 김구 선생 초상을 넣기로 한 계획을 백지화했다.

당시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뒷면에 들어가는 대동여지도에 독도가 표기돼 있지 않아 10만원권 발행 작업을 유보한다”고 발표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정감사장에서 “경제사정이 어려운 데다 사실상 5만원권을 발행하면 거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데, 10만원권까지 발행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정부가 도안 인물로 김구를 올리는 걸 탐탁지 않게 생각해 10만원권 발행이 무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일본은 식민 피해를 당했던 한국민들의 정서는 아랑곳하지 않고 침탈자를 화폐 인물로 보란 듯이 쓴다. 그런데도 우리는 여론이 좌우로 갈려 독립과 건국의 지도자들을 화폐에 쓰지 못하고 있으니 순국선열들을 대할 면목이 없다.

jrlee@seoul.co.kr
2019-04-1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