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취미 만들기/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취미 만들기/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19-03-11 22:42
업데이트 2019-03-12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배, 취미가 뭐예요?”

얼마 전 지인이 뜬금없이 던진 질문에 한참을 답을 못했다. 내 취미가 뭐지. 딱히 떠오르는 게 없었다. 씁쓸하기도, 한심하기도 했다. 일을 한다는 핑계로 내 생활이 그동안 이렇게 무미건조했었나, 게을렀던가 하는 생각이 순간 들었다.

취미를 검색해봤다. “전문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즐기려고 하는 일”이라고 나온다. 좋아서 하는 일, 그래서 스트레스도 사서 하는 일. 이 정도가 아닐까.

입사원서에 취미를 쓰는 항목이 있었다. 지금도 일부 남아 있지만. 예전에는 우표수집, 동전수집, 음악감상, 독서, 영화감상, 여행, 등산 등을 주로 썼는데, 요즘은 나이와 상관없이 더 다양해지고 구체적으로 바뀌는 것 같다. 20~30대는 그렇다 치고 주변의 40~50대 중에 텃밭을 가꾼다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지방에서 ‘블루베리 농사’를 짓는 지인도 있다. 농사지어 선물을 한단다. 목공예를 배우는 사람, 요리를 배우는 사람, 장 담그는 사람, 전통 염색을 배우는 사람, 뜨개질을 배우는 사람…. 참으로 다양하다.

공통점을 찾는다면 자신의 직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일들이다. 온전히 몸으로 부딪히며 머릿속을 비우는 활동이다. 비워야 채울 테니까. 봄이다. 더 늦기 전에 취미를 만들어야겠다.

kmkim@seoul.co.kr

2019-03-12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