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국 브렉시트 혼란 틈타 준동하는 新 IRA

영국 브렉시트 혼란 틈타 준동하는 新 IRA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9-02-04 11:00
업데이트 2019-02-04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 아일랜드공화국군(NIRA)이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북아일랜드 런던데리의 법원 건물 바깥에서 벌인 차량 폭발 테러의 잔해. 런던데리 AP 연합뉴스
신 아일랜드공화국군(NIRA)이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북아일랜드 런던데리의 법원 건물 바깥에서 벌인 차량 폭발 테러의 잔해. 런던데리 AP 연합뉴스
아일랜드의 악명 높았던 분리독립 무장단체 ‘아일랜드공화국군’(IRA)의 후신을 자처한 ‘신 아일랜드공화국군’(NIRA)이 준동하고 있다.

영국 데일리미러는 1일(현지시간) “테러리스트(NIRA)들이 브렉시트에 따른 혼란을 틈타 대학살을 벌이려 한다는 공포가 퍼져있다”면서 “이들은 IRA가 반납한 기관총, 폭탄, 바주카포 등이 쌓여있는 아일랜드 곳곳의 무기 보관고를 탈취하려 한다”고 보도했다. 데일리미러에 따르면 아일랜드에는 총 12개의 IRA 무기 보관고가 있다.

아일랜드 경찰 관계자는 데일러미러에 “우리는 NIRA 전투원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IRA는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보다 영국과 아일랜드에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NIRA의 핵심 전투원은 약 40명으로 추산된다. ABC 방송은 현지 전문가를 인용해 “NIRA가 원조 IRA와 같은 파괴력을 갖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NIRA가 누군가를 살해할 위험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NIRA는 세력확장을 꾀하는 중이다. 이들은 북아일랜드 빈민가에서 현 체제에 불만을 가진 청년들을 포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정부는 일찌감치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자국의 정보기관 국내정보국(MI5) 요원 다수를 이미 북아일랜드의 주도 벨파스트에 파견했다. 영국 대테러당국 관계자는 일간 더타임스에 “현재 벨파스트에서 활동 중인 MI5 요원은 전체 인력의 20%인 700여명”이라고 말했다.

영국 정부의 이같은 감시에도 NIRA는 지난달 19일 오후 8시쯤 북아일랜드 런던데리의 법원 건물 바깥에서 차량 폭발 테러를 감행했다. 이들은 사건 발생 열흘 뒤 “영국과 협력하는 자들은 즉시 그만둬야 한다. 더 이상의 경고는 없을 것”이라는 성명을 보내 공격의 주체가 NIRA임을 밝혔다. 경찰은 폭발물이 터지기 5분 전에 신원을 알 수 없는 인물의 경고 전화로 폭탄을 설치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주변 건물 주민들과 호텔 투숙객을 대피시켰다. 당시 사건으로 인명피해는 없었다.

당시 공격과 관련 현지 일간 아이리시타임스는 “경찰은 폭탄을 ‘조잡하고 불안정한 장치’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것은 명백한 살인 시도였다. 근처에 사람이 있었다면 사망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NIRA는 북아일랜드의 유혈 분쟁을 종식한 1998년 벨파스트 평화협정(굿프라이데이 협정)에 반대하는 반체제 집단이 통합된 조직으로 2012년 창설됐다. 벨파스트 평화협정 전까지 북아일랜드에서는 친(親) 영국계 신교도들과 구교도 민족주의 진영 사이의 유혈 분쟁으로 3700여명이 숨졌다.

NIRA의 준동은 브렉시트 국면에서 영국과 아일랜드의 국경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라 북아일랜드의 지위를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된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영국과 EU는 아일랜드 국경 통제를 엄격하게 하는 ‘하드 보더’를 피하고자 미래관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영국 전체를 당분간 EU 관세동맹에 잔류하게 하는 ‘안전장치’에 합의했다. 그러나 안전장치 종료 시한이 없는 데다, 북아일랜드만 별도 상품규제를 적용받을 수 있어 브렉시트 강경론자와 북아일랜드 연방주의 정당인 민주연합당(DUP)이 반발한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