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태 돋보기] 개 안락사 논란과 진화론/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개 안락사 논란과 진화론/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9-01-28 22:26
업데이트 2019-01-29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지난가을 칼럼에서 버려진 반려동물에 관한 문제를 다뤘다. 개는 1만 5000년 전부터 인간과 함께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사랑받는 반려동물이다. 안타깝게도 가장 많이 버림받는 생명체이기도 하다. 가엾게 버려진 동물을 구조하고 돌보는 노력은 끊임없이 있어 왔다. 문재인 대통령도 청와대로 유기견을 데려갔다. 청와대로 간 ‘토리’를 구조하고 돌봐줘 관심과 사랑을 받은 동물보호단체 대표가 요즘 다시 등장했다. 그런데 이번엔 참혹하다. 불법 안락사와 암매장, 횡령 그리고 인도적 안락사라는 허무한 말까지….

그 대표는 방송에서 법 강화보다 생명을 중시하는 마음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런 사람이 수백 마리의 유기동물을 떠나보내고 묻어버렸다니. 현재의 정황으로 보면 위법 여부를 떠나 그의 행위는 사실인 듯하다.

왜 사람은 남을 속일까.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자기기만, 즉 자기 자신마저 속임으로써 남을 속이기 유리한 조건을 만들 수 있다. 다윈의 진화이론은 개체의 생존과 번식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자신만을 위하는 이기적인 행위가 나름 좋은 전략으로 보인다. 그런데 조직이나 사회 등 집단을 이루는 생명체 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자기 희생, 즉 이타주의적 성향이다. 다윈의 진화이론이 세상에 나오고 100년이 지나 상호 간의 이타적 행동이 더 유리하고 이를 통해 집단 전체의 이익이 높아짐을 증명해 왔다.

자기기만은 이러한 진화론적 흐름 속에서 남아 있을 수 있었을까. 남을 속이기 위한 최적화된 조건은 자기 자신마저 속이는, 기막힌 상황이다. 그 대표는 완벽하진 않아도 일관된 자기기만의 의식 속에 오랜 세월 동안 동료를 포함한 타인을 성공적으로 기만해 왔을 것이다.

대중매체를 통해 핵심어를 움켜쥔 이미지는 미덕으로 승화돼 찬양받기 쉽다. 개인의 손익을 공익적 가치로 둔갑시키는 발달된 자기기만의 기술을 갖고 있다면 집단 최면의 단계까지 확장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동안 국수주의 또는 독재정치에서 익히 봐왔던 모습들이다. 기만의 대상이 많을수록, 그 대상이 기만에 쉽게 넘어갈수록 자기 기만 전략은 진화론적 성공을 가져갈 것이다. 자기기만으로 감출 것이 많은 사회에 산다는 것은 구성원 모두에게 힘든 일이다. 자기기만이 진화적으로 선택받지 못하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건 어떨까.

2019-01-2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