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아파트 파문-대기업이 신축한 전주 아파트

라돈 아파트 파문-대기업이 신축한 전주 아파트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18-10-03 14:03
업데이트 2018-10-03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돈 침대 사태로 발암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대기업이 신축한 전북 전주시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기준치 보다 훨씬 높은 라돈이 검출돼 주민들이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3일 전주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2월 입주한 송천동의 신축 아파트 안방 욕실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됐다.

실제로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전주시가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2462~3696 베크렐(bq/㎥)이 넘는 라돈이 측정됐다. 이는 기준치 200 베크렐(bq/㎥) 보다 12~18배 높은 것이다.

이는 주민들과 지자체가 휴대용 라돈측정기로 잰 결과다.

문제의 천연석 선반이 설치된 아파트는 특정 평형 145가구에 이른다.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아파트 주민들은 안방 화장실 사용을 피하고 거실에서 생활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새 아파트의 천연석 선반을 철거하는 바람에 타일이 깨지는 등 욕실에 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대해 시공사측은 전주시와 주민들의 라돈 측정 방식이 환경부 공인 방법과 다를뿐 아니라 법적 의무대상도 아니라며 소극적인 입장이다. 라돈을 측정할 때 측정기를 대상물과 1.2m 떨어진 높이에서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라돈 측정은 2018년 1월 이후 사업계획을 신청한 공동주택부터 의무 대상이기 때문에 이미 입주한 아파트는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국승철 전주시 공동주택팀장은 “최근 신축 아파트 현장에 나가 라돈 측정을 해봤지만 이 아파트처럼 수치가 높게 나온 곳은 없었다”며 “시공업체가 주민들과 협의해 대책을 마련하도록 중재와 행정지도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