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객사 터에 발견된 일본 신사 비석 처리 ‘고민’

울산객사 터에 발견된 일본 신사 비석 처리 ‘고민’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18-08-13 12:17
업데이트 2018-08-13 1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산시가 옛 울산객사 부지에서 발견된 울산신사의 비석 처리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울산객사는 외국사신이나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가 묵던 숙소다.

13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2015년 시립미술관 건립을 위해 울산객사 터인 옛 울산초등학교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울산신사 기둥 문으로 추정되는 비석이 나왔다.

이 비석은 전체 1.8m 길이지만 파손돼 두 동강 난 상태다. 표면에는 일본 황자 탄생을 축하하는 의미인 ‘皇太子殿下御降誕記念鳥居(황태자전하어강탄기념조거)’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비석 측면에 ‘昭和(소화) 9년(1934년) 10월 6일’이라는 제작 시기도 적혀 있다.

당시 옛 울산초 부지 매장문화재 정밀조사를 맡은 울산발전연구원 측은 이 비석을 보온 덮개와 비닐 천막으로 싸서 현장에 뒀으나 최근 해당 부지에 임시주차장 공사가 시작되면서 덮개가 벗겨져 방치된 상태다.

지역 문화계 일각에서는 비록 일제 잔재이기는 하나 역사적 기록인 만큼 보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공사 부지 내 회화나무 밑에 놓인 돌무더기에 비석이 별다른 보호 조치 없이 노출돼 있다”며 “조선통신사들의 하행 길에 둘렀던 동헌과 객사 사이 일본 신사가 들어섰던 곳으로 치욕의 산물을 역사적 교훈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울산시는 울산발전연구원 측과 협의해 활용·보존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비석이 유물로서 가치가 크지 않고, 앞으로 건립될 시립미술관과 객사에 일본 신사 비석을 다시 놓는 것이 옳은 지도 고민”이라며 “관계 기관 등과 활용방안을 찾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