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인식기술 글로벌 특허경쟁, 한국은 ‘질보다 양’

생체인식기술 글로벌 특허경쟁, 한국은 ‘질보다 양’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8-07-26 14:20
업데이트 2018-07-26 1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 출원 3위, 삼성은 다출원 기업 1위

최근 간편결제가 활발해지고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체인식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우리나라는 ‘질보다 양’에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특허협력조약(PCT) 국제출원 공개건수는 1388건에 달한다. 2013년 180건에서 지난해 421건으로 연평균 23.7%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세계 생체인식시장이 2016년 32억 4000만 달러 수준에서 2023년 122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삼성·애플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기술개발과 글로벌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생체정보별로는 지문이 394건으로 가장 많았고 홍채(315건), 얼굴(255건), 정맥(144건), 음성(116건) 등의 순이다. 활용 분야는 모바일·웨어러블 분야가 318건을 차지한 가운데 헬스케어(244건), 지불결제(192건), 출입통제(16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스마트 홈과 스마트 카 등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산업 분야에서도 생체 인식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출원인 국적은 미국이 719건으로 전체 51.8%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118건)은 일본(165건)에 이어 3위에 올랐다. 다출원 기업도 삼성(44건)이 1위, 엘지(15건)가 10위에 오르는 등 스마트폰 관련 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주도했다.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헬스케어, 알리페이 등 간편결제가 대중화된 중국은 지불결제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한국이 주도하는 분야는 없었다.

신준호 국제특허출원심사1팀장은 “우리나라는 전 분야에서 고른 출원을 보이고 있지만 지불결제 분야는 미국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뒤떨어져 기술개발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