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 절반 “남북경협 참여 의향”

국내 중소기업 절반 “남북경협 참여 의향”

최선을 기자
입력 2018-07-25 23:06
업데이트 2018-07-26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건비 낮아 사업참여 원해” 77% 최다

“개성공단 내년 상반기 재개 예상” 43%

국내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은 남북 경제협력 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 경협 재개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IBK기업은행 북한경제연구센터가 중소기업 2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남북 경협 사업에 참여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 전체의 49.5%는 ‘있다’고 응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8.5%에 그쳤다. 나머지 22.0%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남북 경협 사업의 참여 이유로는 낮은 인건비(76.8%·복수 응답 허용)를 가장 많이 꼽았다. 북한시장 진출(52.5%), 의사소통 원활(33.3%), 지하자원 등 경제적 가치(20.2%), 북방 진출 거점 확보(20.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참여할 의향이 없다고 답한 중소기업들은 정치·경제 불안정(57.4%), 높은 사업 리스크(46.3%), 사업 확장 불필요(35.2%), 경제성 부족(25.9%), 사회간접시설 미비(24.1%)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남북 경협을 위해 가장 시급히 추진돼야 할 사업으로는 전기·통신·교통 등 인프라 정비(66.2%), 일관성 있는 남북경협 정책 추진(63.6%), 투자 보장 등 법적 보호장치 마련(58.5%), 개성공단 재개와 제2 개성공단 조성(29.2%) 등이 꼽혔다.

개성공단 재개 예상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2019년 상반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42.7%로 가장 높았다. 2019년 하반기(19.6%), 재개 불확실(15.6%), 2018년 하반기(12.1%), 2020년 이후(10.1%) 등의 순이었다. 제2 개성공단 조성에 대해서는 58.3%가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19.6%에 그쳤다. 제2 개성공단 예상 지역에 대한 답변은 개성 인근(48.7%), 평양 인근(14.1%), 나진·선봉 특구(10.6%)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여건이 조성된다면 국내 공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대신 북한 근로자를 채용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75.5%가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IBK북한경제연구센터는 “정부의 일관성 있는 대북 정책 추진으로 사업 리스크를 해소하고 투자 보호장치를 마련해 법과 제도 측면에서 면밀한 준비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업은행은 앞으로 있을 중소기업의 남북 경협 사업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5월 IBK경제연구소 내에 북한경제연구센터를 신설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8-07-2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