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 협상 앞두고 이란 제재 총력전

美, 대북 협상 앞두고 이란 제재 총력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8-07-03 22:48
업데이트 2018-07-03 2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란 원유 수익 0으로 만들 것”

로하니 “원유시장 교란 부를 것”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비핵화 후속 협상을 앞두고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유럽을 방문해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한 외교전으로 대응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브라이언 훅 미 국무부 정책기획관은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유럽과 아시아 지역 13개 국가를 방문해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이란과 거래를 계속하는 데 대한 위험성을 경고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목표는 이란의 원유 판매 수익을 ‘0’으로 줄여 이란 정권에 압박을 가하는 것”이라며 “(이란산 원유를 대체할) 여유 생산력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각국에 오는 11월 4일까지 이란산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했고, 주요 수입국인 인도와 터키는 공개적으로 거부 의사를 표시했다.

훅 기획관은 인도와 터키에 대해 “각국과 사안별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발언해 기존의 ‘예외 없는 중단’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다. 제재가 복원되더라도 사례별 예외를 적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프랑스 에너지 기업인 토탈과 자동차 회사 푸조, 독일 전자회사 지멘스 등 50곳이 넘는 글로벌 기업들이 이란과의 거래 중단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보다 핵합의를 이행한 이란에 더 가혹한 이유는 그만큼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이 아직 개발 단계에 머무른 이란보다 더 위협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란에 대한 압박을 본보기로 삼아 여차하면 강력한 제재 국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대북 경고 메시지 효과도 크다는 점에서다.

로하니 대통령은 이날 스위스 베른을 방문해 알랭 베르세 스위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영세 중립국 스위스는 핵합의에 직접 참여한 유럽연합(EU) 회원국이 아니지만, 2015년 7월 이란 핵협상이 타결되자 한 달 뒤 EU보다 먼저 이란에 대한 독자 제재를 해제하는 등 중재 역할을 해 왔다. 로하니 대통령은 베른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출을 제재와 압박으로 막으려 한다면 중동산 원유 공급이 차질을 빚어 국제 원유 시장이 교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4일 EU의 올 하반기 순회 의장국을 맡은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동해 EU와 이란이 최종 조율 중인 ‘핵합의 보장안’ 방안을 논의한다. 이란은 EU가 이란산 원유 수출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8-07-04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