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따른 전국 연간 생산성 손실액 11조원

수면장애 따른 전국 연간 생산성 손실액 11조원

김병철 기자
입력 2018-06-28 12:52
업데이트 2018-06-28 1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의 수면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생산성 손실액이 경기도만 2조 6000여억원, 전국적으로는 11조원이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9분으로, OECD 국가 국민 평균 8시간 22분보다 20여분 짧았다.

이런 가운데 국내 수면장애 질환자는 2014년 75만 7000여명에서 2016년 88만 3000여명을 증가하는 등 매년 늘고 있다. 수면장애 질환자는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등을 말한다.

이들의 진료비도 이 기간 934억원에서 1178억원을 늘었다. 1인당 연간 관련 질환 진료비 역시 12만 3000원에서 13만 6000원으로 증가했다.

수면장애와 관련한 약국 진료비도 2014년 369억원에서 2016년 466억원으로 늘었다.

수면장애 질환자와 이들의 진료비는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가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같은 수면장애로 생산성이 저하돼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경기도 내에서만 연간 2조 6470억원, 전국적으로는 11조 497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경기도 내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을 다른 분야에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생산성 손실액은 5조 4000여억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은 2조 3000여억원, 취업유발 손실은 2만 3000여명에 이른다고 연구진은 분석됐다.

수면장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커지면서 치료 및 수면 침구생산, 수면클리닉 등 수면산업이 선진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고부가가치 신성장 산업으로 급성장해 관련 시장 규모가 미국은 45조원, 중국은 38조원, 일본은 9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은 2010년부터서야 수면산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재 시장 규모가 2조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위원 등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첨단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면산업 시장 규모가 큰 경기도에는 ▲수면산업 육성 위한 인프라 구축 ▲해외진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신기술 경쟁력 강화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면산업 생태계 조성 ▲수면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적 지원을 제안했다.

이은환 연구위원은 “침대, 매트리스 등 수면산업 제품들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허가 기준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최근 논란이 된 라돈침대처럼 검증되지 않은 기능성 수면제품에 대해서는 의료기기에 준하는 수준으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