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골라 태우는’ 카카오T택시, 유료화 한 달 달라진 게 없다

‘골라 태우는’ 카카오T택시, 유료화 한 달 달라진 게 없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5-14 18:00
업데이트 2018-05-15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앱으로 수차례 호출해도 ‘감감’
택시기사 “500원 더 받겠다고 굳
이 야간에 근거리 가겠는가”


유료화 실험 아직도 답 못찾아
카카오 “50만건호출 의미 있어”
5000원짜리 즉시배차 재추진


# 자영업을 하는 김모(35)씨는 지난 11일 밤 11시쯤 서울 광화문 네거리 부근에서 카카오T택시(카카오택시) 앱으로 택시를 불렀지만 여러 차례 호출에도 잡히지 않았다. 초조한 마음에 최근 출시된 유료 서비스로도 한 시간 가까이 호출을 해 봤지만 좀체 응답이 오지 않았다. 김씨는 “가까스로 호출에 성공하긴 했지만 (유료호출비) 1000원 때문은 아닌 것 같았다”면서 “괜히 택시비만 1000원 더 내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 지난 3일 밤 10시쯤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부근에서 은평구까지 운행한 한 택시기사는 유료화된 카카오택시 앱을 한 달쯤 써 봤지만 “별로 달라진 게 없다”면서 “굳이 야간에 몇 백원 더 받겠다고 가까운 거리를 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목적지가 좋아서 몇 번 (스마트 호출을) 잡아 본 게 전부라 포인트가 얼만지도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택시기사는 “아예 스마트 호출 기능을 꺼 버렸다”고 털어놓았다. 호출 기능을 끄면 일부러 안 받는 것이 아닌 만큼 페널티가 없다는 설명이 따라붙었다.
카카오가 ‘손님 골라 태우기’ 관행을 개선하겠다며 지난달 10일 유료화 서비스인 ‘스마트 호출’을 내놓았지만 한 달여 동안 ‘골라 태우기’ 폐해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전부터 수많은 장애물에 부딪혔던 카카오택시 유료화 실험이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는’ 모습이다.

스마트 호출은 소비자가 유료 결제를 선택하면 카카오의 인공지능(AI) 기술이 기사들의 운행 자료를 분석해 가장 수락 확률이 높은 택시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다. 운행이 끝나면 승객이 미리 등록해 놓은 신용카드로 1000원이 결제된다. 1000원 중 400원에 해당하는 포인트는 기사에게 바로 적립되고 승객의 평가에 따라 최대 100원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추가 지급된다.

스마트 호출이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 500원에 이르는 추가금이 기사들에게는 평소 안 가던 구간을 운행할 만한 동기가 되는 데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스마트 호출 도입 직후에는 기사들에게 유료콜 목적지를 공개하지 않았다. 골라 태우기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그랬더니 기사들이 아예 스마트 호출을 수락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어떤 승객은 스마트 호출로 실패한 택시 잡기를 일반 콜로 성공하기도 했다.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스마트 호출 목적지 미공개 방침을 3일 만에 철회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유료화 한 달간 연결된 스마트 호출은 50만건이다. 카카오는 이 숫자에 의미를 부여한다. 한 관계자는 “특정 시간대에는 현실적으로 (스마트 호출에 따른 택시)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지만, 기술을 활용해 연결률을 조금이라도 높여 보려는 시도 중 하나”라면서 “앞으로 택시기사 회원의 이용 경험이 더 많이 축적되면 좀더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당초 스마트 호출과 함께 도입하려다 보류했던 5000원짜리 ‘즉시배차’ 서비스도 다시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 서울시 등과의 협의가 필요해 세부방안을 고민 중이다. 출퇴근 시간에 한해 연결에 실패한 콜을 카풀로 연결해 주는 등 사용자 편익을 높일 수 있는 여러 방안도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5-1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