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정의용 또 미국행… 북미정상회담 판문점 낙점되나

‘메신저’ 정의용 또 미국행… 북미정상회담 판문점 낙점되나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8-05-04 18:12
업데이트 2018-05-04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NSC 요청으로 9일 만에 비공개 방미

회담 장소·의제 한국 의견 반영 가능성
‘적극적 중재자’ 文 메시지로 협상 임할 듯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완전한 비핵화’ 등 한반도의 명운을 가늠할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장소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4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눈길을 끈다.

정 실장은 지난달 5~6일 대북특별사절단 대표로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곧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백악관 면담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끌어냈다. 남북 정상회담 직전인 지난달 24일에도 워싱턴을 찾아 최종 조율을 하는 등 중대 국면마다 ‘메신저’ 역할을 해 왔던 만큼 전격적인 이번 방미 또한 주목을 받고 있다.

정 실장의 방미 여부를 줄곧 부인했던 청와대는 이날 “정 실장이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논의하자는 미국 국가안보회의(NSC)의 요청에 따라 비공개로 방미했다”고 확인했다.

카운터파트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취임한 지난달 9일 이후로만 벌써 세 번째 방미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북·미 정상회담 개최 후보지로 판문점을 적극 고려하고 있음을 강조한 만큼, 북·미 간 세기의 담판 장소와 의제에 대한 최종 조율에 나섰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북·미 간 ‘적극적 중재자’를 자임한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를 갖고 협상에 임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장소는 ‘스몰 딜’(작은 쟁점)인 것 같다. 북·미 회담이 북핵 해결을 위한 본격 라운드라는 점을 고려하면 (비핵화 방법 등) ‘빅 딜’을 얘기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특히 정 실장의 방미를 미국이 요청했고 미측에서 보안을 요청했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북·미 회담의 장소이든, 비핵화 방법 등의 의제이든 미측이 한국의 의견을 비중 있게 받아들이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불과 9일 만에 정 실장이 미국을 다시 찾았다는 점에서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을 정밀하게 파악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비핵화와 맞물린 종전 선언, 뒤이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문 대통령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남·북·미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북·미 정상회담 전에 열어야 실효성이 있는 한·미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도 협의해야 한다.

백악관도 국내 언론에 정 실장과 볼턴 보좌관의 면담 일정을 확인했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지난달 24일에 이어 열흘도 안 된 시점에 정 실장의 방미는 아주 이례적인 것으로, 그만큼 중요한 사안을 가지고 왔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미 회담의 판문점 개최나 깜짝 이벤트를 위한 사전 조율 차원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서울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5-0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