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D-51] 靑, 15년 만에 체육기자단 초청 “평창 홍보 잘해 성공해야”

[평창동계올림픽 D-51] 靑, 15년 만에 체육기자단 초청 “평창 홍보 잘해 성공해야”

입력 2017-12-19 22:40
업데이트 2017-12-19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평창 홍보대사역 톡톡

“정부 출범 전 3000억 적자 예상
흑자 못 내도 수지 균형 맞출 듯”


문재인 대통령이 51일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의 붐업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19일 경강선(서울~강릉) 고속철도(KTX)를 점검하는 시승식에 한국체육기자연맹 소속 30여개 언론사 체육부장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연 것이다.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인 문 대통령은 “(간담회) 목표는 딱 하나다. 언론이 평창동계올림픽을 잘 홍보해 주고 붐업해서 성공하게 해 달라는 것”이라며 웃었다.

대통령이 체육기자단과 간담회를 가진 것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청와대로 초청한 이후 15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동계스포츠가 국민들에게 큰 위안이 되고 있다”며 “우리 선수단이 좋은 성적을 올리고 메달을 많이 따길 바란다. 그렇게 되면 국민들께 큰 힘이 될 것이고 땀 흘린 선수들에게도 제대로 된 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피겨스케이팅 경기 티켓을 예매했던 문 대통령은 “학교 다닐 때 동네 야구를 좀 했다. 지금은 운동을 못하지만 구경하는 것을 좋아한다”며 개·폐회식 참석 외에 경기 관람의 뜻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올림픽 빚잔치 우려’와 관련해 “적자 올림픽이 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정부가 출범했을 때 3000억원 정도의 적자를 예상했다”며 “국고 지원을 늘리고 기업 후원금이 목표 이상으로 모이면서 걱정을 덜었다. 흑자는 아니더라도 수지 균형을 대충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이어 “앞으로는 냉철하게 계산해 흑자에 자신 있고 올림픽 시설이 국가에 도움이 되는 활용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때 유치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경기장 사후 활용과 관련해서는 “12개 시설 가운데 이미 8곳은 방안이 결정됐고 4개 시설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정부 차원에서 지역 자치단체·시민사회와 긴밀하게 협의해 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을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계스포츠 체험이나 선수들 훈련 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친환경적으로 복원해야 하는 부분은 원래 취지대로 제대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강릉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서울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7-12-20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