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전 장관 구속여부 10일 늦은 밤 결론…MB 수사 교두보 될 듯

김관진 전 장관 구속여부 10일 늦은 밤 결론…MB 수사 교두보 될 듯

장은석 기자
입력 2017-11-10 14:30
업데이트 2017-11-10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관진(68) 전 국방부 장관의 구속 여부가 이르면 10일 늦은 밤 결정된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 정부 시절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온라인 여론조작 활동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10일 오전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법정으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명박 정부 시절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온라인 여론조작 활동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10일 오전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법정으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김 전 장관은 이명박 정권 당시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온라인 여론조작 활동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강부영 영장전담 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김 전 장관과 임관빈 전 국방부 정책실장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었다.

강 판사는 김 전 장관과 임 전 실장의 군형법상 정치관여 혐의 등을 심리했다.

김 전 장관은 영장심사 출석에 앞서 취재진으로부터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사이버사 활동 내용을 보고했느냐”는 등의 질문을 받았지만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법정으로 들어갔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이 2010∼2012년 연제욱 전 사이버사령관 등에게 정부와 여권을 지지하고 야권을 비난하는 방향으로 온라인상에서 정치관여 활동을 벌이도록 지시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또 ‘댓글 공작’을 벌인 사이버사령부가 군무원 79명을 추가 선발할 때 친정부 성향을 지녔는지를 기준으로 선발하도록 신원 조사 기준을 상향하게 하고, 호남 등 특정 지역 출신을 배제토록 조치한 혐의(직권남용)도 파악했다.

김 전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 등에게 사이버사령부 인력 충원 등을 보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속영장 청구서의 범죄사실에는 이 전 대통령이나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검찰은 전했다.

함께 영장이 청구된 임 전 실장은 2011∼2013년 사이버사령부를 지휘하는 국방정책실장을 지내면서 김 전 장관과 공모해 정치관여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임 전 실장은 정책실장 재직 시절 2년간 연 전 사이버사령관으로부터 매달 100만원씩 총 3000만원 가량을 수수한 혐의도 있다. 검찰은 이 자금이 국정원 특별활동비에서 전달된 정황을 포착했다.

구속영장 발부 여부는 10일 늦은 밤이나 11일 새벽 결정된다. 김 전 장관과 임 전 실장의 구속영장 발부 여부에 따라 검찰 수사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향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