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통령 25년 만의 국빈 방문] ‘헤드 테이블’ 차지한 쿠슈너… 북핵 챙긴 맥매스터 그림자 보좌

[美대통령 25년 만의 국빈 방문] ‘헤드 테이블’ 차지한 쿠슈너… 북핵 챙긴 맥매스터 그림자 보좌

한준규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업데이트 2017-11-08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수행단 누가 어디까지

사위 쿠슈너 순방 내내 실세 입증
美 외교·안보라인 보좌진 총출동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아시아 순방 수행단의 인원과 형태를 국가별로 변화를 주고 있다.

●이방카는 한·중 방문 동행 안 해

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AP 통신 등 현지언론은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로 퍼스트 도터인 이방카의 남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 고문을 꼽았다. 쿠슈너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방한 기간 중 확대정상회담 참여와 공식 환영 만찬에서 양국 정상들과 같은 테이블인 헤드 테이블을 차지하면서 ‘실세’임을 입증했다. 쿠슈너 고문은 트럼프 대선 캠프와 러시아 간 공모 의혹인 ‘러시아 스캔들’ 연루와 가족 기업의 중국 비자 장사 논란에 휩싸이며 외각으로 물러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쿠슈너 고문은 한국·중국·일본만 방문하고 미국으로 돌아간다. 또 퍼스트레이디인 멜라니아도 한·일·중 순방까지 동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초기 ‘은둔의 퍼스트레이디’란 비판을 말끔히 해소할 전망이다.

●틸러슨 등 美장관 순방 내내 동행

한때 방한 기대감으로 화제를 모았던 퍼스트 도터인 이방카 백악관 선임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 아시아 순방단에 앞서 일본 도쿄를 방문, 국제여성회의(WAW) 연설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만찬 등을 소화하고 미국 내 세제 개혁 마무리 등을 위해 미국으로 복귀했다. 결국 한국과 중국 방문은 무산됐다.

이번 아시아 순방에는 존 켈리 대통령 비서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스티븐 밀러 선임 고문,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 등 백악관의 외교·안보라인의 보좌진이 총출동했다. 해병대 4성 장군 출신인 켈리 실장은 순방 기간 내내 트럼프 대통령을 다방면에서 챙기는 역할을 맡았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대북 군사옵션을 준비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 순방의 제1 어젠다인 ‘북핵 해결’을 직접 챙기고 있다. 이들은 순방 기간 내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할 예정이다.

●中 순방 땐 GE 등 기업대표들 참석

각료로서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이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고 있다.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중국 방문에만 동행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순방에만 미국의 통상 최고 책임자 두 명과 함께하면서 중국 정부에 강력한 통상 압력을 행사할 것으로 풀이된다. 또 중국 순방에는 제너럴일렉트릭(GE), 보잉, 하니웰, 웨스팅하우스, 알래스카 가스라인개발, 퀄컴 등의 기업대표들과 함께할 예정이다. 이들 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을 등에 업고 중국 측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 구매 계약에 서명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11-08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