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차 산업혁명시대 전문직은 도덕성 ‘게이트 키퍼’ 역할 할 것”

“4차 산업혁명시대 전문직은 도덕성 ‘게이트 키퍼’ 역할 할 것”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0-25 22:44
업데이트 2017-10-26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션1:미래 일자리-인공지능과 협업] AI, 상상 이상 빠르게 발전… 기술 개발 결승선은 없어

어떤 새 일자리 생길까 고민해야
정보 이용 일반인도 전문성 발휘
평생 교육 등 정부 대비도 필요

“기술 개발에서 결승선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 끝났다’라는 지점은 있을 수 없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주자인 인공지능(AI)의 발전도 이런 차원에서 봐야 한다. AI 기술은 우리가 상상도 못한 지점까지 끌고 갈 수도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주최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 성황
서울신문 주최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 성황 25일 서울신문 주최로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의 첫 번째 세션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이광형 카이스트 교수, 대니얼 서스킨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KCERN) 이사장,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5일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 첫 번째 연사로 나선 대니얼 서스킨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AI의 미래에 대해서는 누구도 쉽게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스킨드 교수는 전문직의 미래를 예측하기에 앞서 AI 기술 발전속도에 대해 이야기하겠다며 운을 뗐다. 그는 “1997년 IBM의 딥블루가 체스 세계 챔피언인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대국에서 우승한 이후 AI는 전문가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AI가 의사나 법률가로 대표되는 전문직 영역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알 수 없지만 지금 개념의 전문직은 점점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미지 확대
서스킨드 교수는 지금도 AI를 활용한 회계분석, 건축설계, 법률상담, 질병진단뿐만 아니라 성직자를 대신해 고해성사를 받아주기까지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그는 “전문직이란 어떤 특정 분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유 권한을 갖고 있는 직업군이나 사람을 가리키는데 AI 기술이 보편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전문직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스킨드 교수는 AI 시대에 전문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호흡기에 의지하고 있는 환자의 연명치료를 진행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와 같이 기계가 판단할 수 없는 도덕성에 있어서 ‘게이트 키퍼’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스킨드 교수에 이어 ‘일자리의 본질과 교육혁명’이라는 주제의 강연자로 나선 이민화 KCERN 이사장은 AI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

이 이사장은 4차 산업혁명이 많은 수의 일자리를 없앨 것이라는 항간의 예측에 대해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기술혁신은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일자리를 파괴했을 뿐 새로운 일자리를 끊임없이 만들어 냈기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든 적은 없다는 설명이다. 그는 “어떤 일자리가 사라질까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까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식과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닌 정보를 어떻게 가공하고 처리하는지를 배울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가르치는 것과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평생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곧바로 이어진 패널토의에서도 AI 시대에 필요한 일자리와 교육방향, 전문직의 변화를 놓고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자로 나선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위원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에 있는 정보들을 취합해 새로운 형태의 전문적인 자료를 생산해 내는 일반인들을 흔히 볼 수 있다”며 “가짜 뉴스 같은 폐해도 있겠지만 정보기술의 발달은 기존에 ‘전문가’라는 정의를 더욱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반인들이 AI 기술을 비롯해 각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만들어 내는 정보를 어디까지 수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스킨드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전통적인 기준의 전문직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일반인들도 얼마든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100년 전이나 지금의 교실 모습은 똑같다”며 “미래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인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콘텐츠를 가르칠 것인가와 함께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흐름이 우리 곁으로 다가온 만큼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흐름의 속도가 아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존 제도에 익숙한 사람들이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거나 쓸려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그들을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지에 대한 정부의 대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Keyword]

●왜 콘텍스트인가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정보와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지식(콘텐츠)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닌 학습능력(콘텍스트)을 가르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학교에서는 가르치는 내용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방법까지 지금까지와는 다른 혁명적 방식이 도입돼야 한다.
2017-10-26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