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좌민 서울대교수팀, 초저농도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

남좌민 서울대교수팀, 초저농도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07-10 11:15
업데이트 2017-07-10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 게재

서울대는 남좌민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의 연구팀이 초저농도 유전자를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질병 발생 초기 생성되는 특정 유전자 물질의 양은 혈액 내에 극소량 존재한다. 때문에 이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돼 왔다.

연구팀은 나노입자의 물리적 변화를 쉽게 관측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해 매우 낮은 농도의 유전자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다양한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 응용이 가능하다”면서 “탄저균 등 바이오 테러 물질의 조기 발견과 정밀한 유전자 수사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결합-해리 나노이합체 분석법을 이용한 초저농도의 DNA 정량’이라는 제목으로 화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