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향민’ 윤이상 묘에 고향 동백나무 선물

‘실향민’ 윤이상 묘에 고향 동백나무 선물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7-07-06 23:42
업데이트 2017-07-07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숙 여사 독일서 묘소 참배

“윤이상 선생님이 항상 통영을 그리워하셨다 해서…우리나라를 기념하는 것이 뭐가 있을까 해서 동백나무를 생각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오른쪽 두 번째) 여사가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가토우 공원묘지에 안장된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선생의 묘소를 찾아 한국 통영에서 공수해 식재한 동백나무를 보고 있다. 김 여사의 왼쪽은 박영희 전 브레멘 음대 교수, 오른쪽은 발터 볼프강 슈파러 국제윤이상협회장. 베를린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오른쪽 두 번째) 여사가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가토우 공원묘지에 안장된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선생의 묘소를 찾아 한국 통영에서 공수해 식재한 동백나무를 보고 있다. 김 여사의 왼쪽은 박영희 전 브레멘 음대 교수, 오른쪽은 발터 볼프강 슈파러 국제윤이상협회장.
베를린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5일(이하 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가토우 공원묘지에 안장된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1917~1995) 선생의 묘소를 참배했다. 김 여사는 문 대통령과 함께 독일을 공식 방문하면서 공군 1호기로 경남 통영에서 공수한 동백나무 한 그루를 윤이상 선생의 묘비 바로 앞에 심었다. 통영은 윤이상 선생의 고향이다. 동백나무는 통영의 상징이기도 하다. 윤이상 선생은 1967년 이른바 동백림(동베를린) 간첩 사건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2년간 복역했고 이후 독일 국적을 취득한 뒤 돌아오지 못했다.

어른 어깨 높이의 나무 앞에는 붉은 화강암으로 된 석판에 ‘대한민국 통영시의 동백나무 2017.7.5. 대통령 문재인 김정숙’이란 금색 글자가 새겨졌다. 김 여사는 “이걸(동백나무) 통영에서 갖고 오느라 애 많이 썼다. 병충해가 같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식물 통관은 굉장히 힘들다”고 설명했다.

경희대 성악과를 졸업했던 김 여사는 “저도 음악을 전공해서 윤이상 선생의 음악을 잘 알고 있다”면서 “음 파괴가 낯설긴 하지만 작곡했던 선배들은 물론이고 관심이 많았다”고 회고했다. 이어 “조국 독립과 민주화를 염원하던 선생이 살아생전 일본에서 타신 배로 통영 앞바다까지만 와 보시고 정작 고향땅을 못 밟으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많이 울었다”면서 “그래서 고향 통영에서 동백나무를 가져왔다. 선생의 마음도 풀리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여사는 6일 ‘눈물의 궁전’과 ‘유대인 학살 추모비’를 방문했다. 눈물의 궁전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경계에 있는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내 출입국 심사장으로 이산가족이 방문 후 헤어질 때 눈물을 흘리며 작별인사를 했다는 데서 이름 붙여졌다.

김 여사는 “제 시어머니도 피란 내려와 가족들을 만나지 못하고 계시는데 이것이 가슴에 한으로 맺힌 것 같다”면서 “우리나라도 어서 통일이 되어 자유롭게 오고 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과거를 덮으려 하지 않고 진정한 화해를 시도하는 것만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7-07-07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