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 문건 유출 의혹’ 故최경락 사건 재조사

‘정윤회 문건 유출 의혹’ 故최경락 사건 재조사

입력 2017-05-15 22:58
업데이트 2017-05-16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유족 진정서 내사 검토

경찰이 2014년 정윤회 문건 유출 당사자로 지목된 이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경락 경위 사건을 재조사한다.

김정훈 서울지방경찰청장은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14일 (최 경위 형 최낙기씨가 낸) 진정서를 접수해 같은 달 20일 사건을 (서울청 지능범죄수사대에) 배당했다”며 “판결문과 징계의결서 등 자료를 수집한 뒤 내사할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경찰은 진정서에서 주장하는 내용이 최 경위가 문건을 유출하지 않았다는 데 국한돼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내사 착수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진정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이 추가로 나오면 정윤회 문건의 진위 여부도 들여다볼 수 있어 내사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진정인의 사정으로 아직 그를 만나지 못했고 기초자료를 검토 중이라 범죄 혐의나 당시 수사 검사를 소환할지 여부 등은 말하기 이르다”고 말했다.

정윤회 문건 파문은 2014년 11월 세계일보의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 조사 보고서’ 보도로 불거졌다. 정씨가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 중에 이른바 문고리 3인방과 같은 청와대 인사들과 수시로 만나 청와대 및 정부 동향을 파악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당시 검찰은 문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결론 냈고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전 경정을 공무상 비밀누설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 이후 문건 유출 혐의를 받은 최 경위는 검찰 조사 도중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7-05-16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