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결정 수용… 갈등 봉합하고 통합의 시대로”

“탄핵 결정 수용… 갈등 봉합하고 통합의 시대로”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7-03-10 21:06
업데이트 2017-03-10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 주자들 반응

대선 주자들은 10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을 수용하면서 갈등을 봉합하고 통합의 시대로 나아가자고 입을 모았다. 시국의 엄중함을 인식한 듯 대다수 주자가 직접 나서는 대신 서면으로 입장을 냈고, 공개 일정을 최소화하는 등 차분한 행보를 보였다.

●팽목항 간 文 “세월호 특검통해 규명돼야”

‘대세론’의 주인공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서울 홍은동 자택에서 탄핵 심판 생중계를 지켜본 뒤 곧바로 짐을 꾸려 전남 진도 팽목항으로 향했다. 문 전 대표는 입장문을 통해 “오늘 우리는 헌법 제1조의 숭고하고 준엄한 가치를 확인했다”며 “대한민국은 이 새롭고 놀라운 경험 위에서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팽목항에서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을 면담한 문 전 대표는 “오늘 헌재가 생명권 침해 사실을 탄핵 사유로 삼지 않은 것은 아직까지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부분은 검찰 수사를 통해서, 미진하다면 특검 수사를 통해서 규명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기 세월호 특조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른 시일 안에 다시 출범해 진실 규명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희정 충남지사의 일성은 ‘대통합’이었다. 안 지사는 “그 누구도 헌법과 법률에 예외가 있을 수 없다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승리이고 역사의 승리이며 국민의 모두의 승리”라면서 “이제 반목과 갈등의 시대를 끝내고 대한민국 모두가 화합하고 통합하는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자”고 했다. 안 지사는 도정에 집중했으며, 경선 캠페인도 12일까지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탄핵에 대한 찬반이 대치하는 가운데, 특정 후보가 광장에 나서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청산’을 강조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오늘 국민은 확실한 청산과 공정국가 건설을 명하고 있는데 정치는 또 머뭇거리려 하고 있다”며 “촛불 위에서 가르치려 하고 국민의 뜻을 왜곡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저녁 광화문 촛불집회 현장으로 향한 데 이어 11일에도 집회에 참여하기로 했다.

●손학규 “차기 대통령 임기 3년… 권력구조 개혁”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국회 기자회견에서 “정치권은 갈라진 국민 마음을 하나로 묶는 데 힘을 합쳐야 한다”면서 “절망의 미로에서 나와 희망의 대로에서 함께하자”고 제안했다. 손학규 전 대표는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권력 구조의 개혁을 완수하겠다”며 개헌을 강조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도 기자회견을 열고 박 전 대통령을 향해 “같은 국민끼리 서로 향했던 적대감을 녹일 수 있도록 진심으로 승복과 화해, 통합을 말씀해 달라. 이 일은 대통령만이 할 수 있고 하셔야 할 중요한 역할”이라고 호소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협치와 연정으로 화합과 안정에 매진하자”고 제안했고,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촛불과 태극기 모두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경남지사는 페이스북에 “유감스럽지만 헌재 결정은 받아들인다”는 짤막한 메시지를 남겼다.

●박 전 대통령 사법처리 입장 표명도 주목

야권 주자들이 박 전 대통령의 사법 처리에 어떤 입장을 취할지도 주목된다. 문 전 대표는 앞서 “범죄 사실은 대단히 무거운데도 검찰·특검 수사를 거부했다”며 “엄정한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지사도 “헌법과 법률의 정신대로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고, 이 시장은 “퇴임 즉시 구속하고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며 구속 수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7-03-11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