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무적인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사설] 고무적인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입력 2017-02-01 22:32
업데이트 2017-02-02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수출액이 403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2% 증가했다.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은 2013년 1월 이후 무려 4년 만이다. 지난해 11월 2.3%, 12월 6.4%에 이어 3개월째 오름세를 보인 것이다. 3개월 연속 수출 증가도 33개월 만이다. 물론 지난해 1월 수출이 363억 달러로 19.6%나 줄었던 기저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 2015년 1월 실적 453억 달러와 비교하면 50억 달러나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악재투성이인 상황에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반전의 기미라고 단언하기엔 이르지만 설 연휴가 끼어 조업일수도 하루 적었던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성과인 것은 분명하다.

수출 호조는 사물인터넷(IoT)의 수요 증가와 유가 상승에 따른 반도체와 석유화학이 이끌었다. 반도체는 스마트폰 탑재 용량 증가와 메모리 단가 상승에 힘입어 월간 기준 사상 최대인 64억 달러의 실적으로 거뒀다. 석유화학제품 역시 수출 단가가 올라간 데다 생산능력이 늘어난 덕택에 2014년 12월 이후 가장 많은 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고 중동 수출은 증가로 바뀌었다. 문제는 수출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을지다.

수출 환경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탄핵 정국에 따른 혼란스러운 국내 정치, 중국 성장 둔화 등 하방 요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맞물린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국의 금리 인상 등의 불확실성이 우리 경제를 둘러싸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2017 국내 산업 기상도’가 보여 주듯 정보기술(IT)이나 가전만 쾌청할 뿐 온통 흐리다. 수출 부진을 털어 내지 못하는 조선과 자동차는 예상대로 ‘비’다. 철강도 중국의 물량 공세와 미국의 반덤핑 압박에 전망이 흐리기는 마찬가지다.

수출 개선 조짐에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유일호 부총리가 어제 “수출이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대내외 여건이 만만찮다. 최근 수출 회복세는 수요의 창출보다는 환경의 변화에 의한 반짝 효과의 측면도 없지 않다. 특정 제품에 대한 수출 의존이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결국 경쟁력이 떨어진 주력 제품의 고부가 전환을 서두르고, 제품의 경쟁력 제고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수출 회복세를 살려 가려면 정부와 기업이 보조를 맞춰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2017-02-0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