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대선 불출마] 박찬종·고건·潘… 제3후보 ‘대선 잔혹사’

[반기문 대선 불출마] 박찬종·고건·潘… 제3후보 ‘대선 잔혹사’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7-02-01 22:32
업데이트 2017-02-01 2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존 정치권과 선 그으며 돌풍…혹독한 검증·조직 한계에 포기

1일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대선 출마를 전격 포기하면서 제3지대 후보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재연됐다. 대선 때마다 명망 있는 법조인·행정가·경제학자·기업가들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다가 혹독한 검증과 거친 정치판 문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이력에 오점만 남긴 채 중도 하차한 선례를 반 전 총장도 따른 것이다.

1997년 대선 당시 바람을 일으켰던 박찬종 전 의원과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때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인기를 끌었던 고건 전 총리, 2007년 대선 당시 기대를 모았던 문국현 전 창조한국당 대표 등이 전례로 꼽힌다.

2006년 17대 대선을 1년 앞두고 여야로부터 동시에 러브콜을 받았던 고 전 총리는 40%에 육박하는 지지율을 얻으며 대선주자로 급부상했지만 본격적인 검증과 비방이 시작되자 출마를 포기했다. 멀리 보면 두 번이나 총리를 역임한 김종필 전 총리도 제3후보의 벽을 넘지 못했다. DJP연합으로 김대중 정부를 출범시켰지만 ‘오월동주’는 오래가지 못했다. 정운찬 전 총리도 제3후보로 출마 가능성을 저울질하다 결국 출마를 접었다.

제3후보들이 참신함을 부각시키기 위해 기존 정치조직과 선을 그으면서 오히려 인재풀의 한계와 조직의 문제로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지 못하는 문제가 반 전 총장의 경우에도 여실히 드러났다. 반 전 총장 귀국 후 거의 하루에 한 개씩 터져 나왔던 구설들은 경험 많은 기존 정당의 시스템이 뒷받침됐다면 극복하지 못할 문제는 아니었다. 특히 진흙탕 싸움으로 평가되는 정치권의 검증 소용돌이를 헤쳐 나가는 것도 거대 정당이라는 울타리가 더 유리하다. 여기에 정치권 밖에서 ‘고고하게’ 살아온 비정치인 출신 대선주자들은 ‘맷집’이 약하기에 더 버티기 힘들다는 시각도 있다. 또 참신한 이미지로 급부상한 만큼 검증으로 작은 흠집만 나도 인기가 급락하는 메커니즘 역시 제3후보의 한계로 꼽힌다.

한편으로는 우리 정치판에서 진보도 보수도 아닌 제3지대 후보의 입지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도 반 전 총장의 중도 하차를 통해 확인됐다. 강력한 지지층은 선명한 노선을 추구하는 대선주자에게 형성되는 속성상 중도 후보는 늘 가변적인 지지율 위에서 불안한 위상을 유지해야 하는 고민이 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7-02-02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