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 후임, 대법원장이 인선작업 착수해야”

권성동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 후임, 대법원장이 인선작업 착수해야”

장은석 기자
입력 2017-02-01 23:49
업데이트 2017-02-01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헌법재판소가 ’8인 재판관 체제’로 재편된 이후 첫 탄핵심판 변론인 ’박근혜 탄핵심판 사건10차변론’이 1일 열렸다.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가 ’8인 재판관 체제’로 재편된 이후 첫 탄핵심판 변론인 ’박근혜 탄핵심판 사건10차변론’이 1일 열렸다. 이정미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권성동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다음달 13일 퇴임 예정인 이정미 헌법재판관의 후임 인선절차를 대법원이 착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1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을 마치고 실시된 기자단 브리핑에서 “이 재판관 후임을 대법원장이 지명하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임명하는 절차를 지금부터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31일 박한철 전 헌재소장의 퇴임으로 ‘8인 체제’가 된 헌재가 다음달 13일 이정미 재판관마저 퇴임하면 ‘7인 체제’가 돼 제 역할을 못 할 수 있으므로, 대법원장이 미리 후임 재판관 인선작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용훈 전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헌법재판관에 임명된 이 재판관의 후임은 양승태 대법원장이 지명한다.

그는 이어 “헌재가 탄핵 결정을 내리더라도 두 달 후에나 대통령 선거가 치뤄지므로 재판관 공백이 길어진다”며 “7명의 재판관으로 헌재가 운영되다 한 명이라도 사고로 궐위되면 헌재의 기능이 마비된다”고 지적했다.

황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권한이 있냐는 질문에는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헌법재판관을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은 형식적인 임명권”이라며 “권한대행이 임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