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못 버티겠다”… 보험 이어 적금마저 깨는 서민들

“더는 못 버티겠다”… 보험 이어 적금마저 깨는 서민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1-16 22:28
업데이트 2017-01-16 2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대 은행 적금해지율 45% 넘어

보험해지 환급금 月 2조씩 늘어
연간 최대 28조 기록 넘어설 듯


이미지 확대
팍팍한 살림살이에 서민들이 보험에 이어 적금까지 깨고 있다. 지난해 보험 해지 환급금은 역대 최대 규모로 추산된다. 적금 해지율도 45%가 넘는다. 통상 적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맨 나중에 깨는 마지노선으로 여겨져 왔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신한·KB국민·우리·KEB하나·농협)의 적금 중도해지 비율은 지난해 말 45.3%로, 2015년 말보다 2.9% 포인트 올랐다. 건수로는 같은 기간 282만 6804건에서 298만 4306건으로 늘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안 오르는 건 내 월급밖에 없다는 자조적인 말이 있을 정도로 경제 상황이 안 좋다 보니 생활비나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이 더는 못 버티고 적금을 깨는 것 같다”고 말했다.

통상 가계가 어려워지면 보험→펀드납입 중단→적금 해약 순으로 금융 자산을 정리한다. 실제로 몇 년째 보험 해약 증가세는 뚜렷하다.

지난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41개 보험사가 고객에게 지급한 해지 환급금은 22조 9904억원에 이른다. 월평균 해지 환급금이 2조 5000억원씩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연간으로는 ‘역대 최대’였던 2015년(28조 3000억여원)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1-1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