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핵’ 외치던 트럼프 “러 제재 해제 대가로 감축 협상”

‘핵’ 외치던 트럼프 “러 제재 해제 대가로 감축 협상”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7-01-16 22:30
업데이트 2017-01-17 09: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핵 능력 강화’ 입장 번복…핵군축 앞세워 제재 걷어낼 의도

CIA국장 “제재 왜 했는지 모르나”
트럼프 “가짜 정보나 흘리지 마라”
메르켈엔 “이민자 수용은 대재앙”


러시아와의 핵경쟁을 시사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핵군축 협상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미·러 핵경쟁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버락 오바마 정부가 취해 온 대러 제재 해제와 연결시켜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도 협상을 통해 이룰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논란을 야기하고 있는 트럼프 시대의 미·러 관계 향방이 주목된다.

트럼프는 15일(현지시간) 영국 더타임스 인터뷰에서 “그들(오바마 정부)은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다. 우리가 러시아와 좋은 협상을 할 수 있는지를 한 번 살펴보자”며 대러 제재와 핵군축 협상 문제를 거론했다. 트럼프는 “일례로 핵무기는 꽤 줄어들어야 하고, 매우 많이 감소돼야 한다”며 러시아와의 협상 테이블에 핵무기 군축이 오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가 지난달 푸틴 대통령이 핵전투력 강화 방침을 발표한 것에 대응해 트위터에 미국도 핵 능력을 대폭 강화·확장하겠다고 밝혀 핵경쟁을 시사한 것에서 입장을 바꾼 것이다. 오히려 오바마 정부가 러시아 측과 핵안보정상회의 등을 통해 추진해 온 핵군축 협상을 이어 갈 것임을 밝힌 셈이다.

이에 미 언론들은 그동안 트럼프가 시사해 온 대러 제재 해제와 핵군축 협상이 테이블에 같이 오를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 로이터는 트럼프가 “핵무기 감축 협상의 대가로 오바마 정부가 취해 온 대러 제재를 끝내겠다는 제안을 할 것임을 밝힌 것”이라며 오히려 트럼프가 핵감축 협상을 앞세워 러시아에 대한 제재 해제에 방점을 찍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NBC뉴스도 “트럼프가 러시아 제재를 걷어내겠다는 계획을 재차 강조했다”며 “핵무기 감축과 교환하겠다는 새로운 세부 조건을 추가했다”고 전했다. 트럼프는 지난 13일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도 “러시아가 테러와의 전쟁이나 미국의 주요 목표 달성에 유용한 존재임이 입증되면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며 “러시아가 우리를 돕는다면 우리에게 좋은 일을 하려는 누군가를 왜 제재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자리를 떠나는 존 브래넌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러시아의 능력과 그들이 세계에 가하는 (위협) 행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러시아의 공격이나 오바마 정부가 러시아의 대선 해킹 개입에 제재를 가한 것에 대해서도 이해가 부족하다”며 “트럼프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트위터에 “(대러 정책을) 이보다 더 못할 수가 없다. 시리아(레드라인),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핵강화 등을 봐라. 좋지 않다”고 반박한 뒤 “이 사람(브래넌 국장)이 (러시아가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가짜뉴스’를 유출했냐”며 CIA의 정보 유출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한편 트럼프는 영국 더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독일이 100만명이 넘는 이민자를 수용한 것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대재앙적 실수”라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또 영국 국민이 선택한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높게 평가하며, 영국에 이어 더 많은 유럽국이 EU를 떠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과 국가들은 고유 정체성을 원한다. 다른 나라들도 떠날 것이라고 믿는다”고 주장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7-01-17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